이택수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동래부사, 승지, 대사간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전주
주요 관직
부수찬|수찬|교리|지평
정의
조선 후기에, 동래부사, 승지, 대사간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아버지는 사직(司直) 이언형(李彦衡)이며, 홍봉한(洪鳳漢)의 생질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원래 예문관검열이었으나 영사(領事)와 친혐(親嫌)으로 체직(遞職)되어 예문관의 규식에 의하여 1763년(영조 39) 시강원설서가 되었다.

이후 헌납·부수찬·수찬·교리·지평을 거쳐 1771년 장령에 이르렀다. 이때 환관과 시전상인과의 불미스러운 일에 연루되어 한때 고역을 치르기도 하였으나, 곧 송라찰방(松羅察訪)으로 임명, 불응하였다가 1773년 영의정 김상복(金相福)의 천거로 동래부사가 되었다. 그 뒤 승지·대사간을 역임하였으나, 1776년(정조 즉위년) 홍인한의 당여로 몰려 사헌부로부터 삭출탄핵을 받았다.

1777년(정조 1) 홍계능(洪啓能)과 홍지해(洪趾海)·홍찬해(洪纘海)·홍술해(洪述海) 3형제 및 홍상길(洪相吉) 형제일파가 일으킨 존현각적변(尊賢閣賊變)에 연루되어 역모동참으로 결안(結案)되었으나 그 어머니가 자궁지친(慈宮至親: 임금의 어머니와 인척관계)이므로 왕의 배려로 단지 지정불고죄(知情不告罪)의 죄목만 적용되었다. 적변의 주모자의 하나인 홍찬해와는 서로 동서 사이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집필자
신정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