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직 ()

이한직
이한직
현대문학
인물
일제강점기 「풍장」, 「북극권」, 「놉새가 불면」 등을 저술한 시인.
이칭
목남(木南)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21년
사망 연도
1976년
본관
전의(全義, 지금의 충청남도 연기)
출생지
경기도 고양
정의
일제강점기 「풍장」, 「북극권」, 「놉새가 불면」 등을 저술한 시인.
개설

본관은 전의(全義). 호는 목남(木南). 경기도 고양 출신. 아버지는 진호(軫鎬)이며, 어머니는 김숙경(金淑卿)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39년 경성중학을 졸업하고 같은 해 일본으로 건너가 게이오대학(慶應大學) 법학과에서 수학하였다.

광복 후에는 한때 종합잡지 ≪전망 展望≫을 주재하였으며, 6·25 때에는 종군 문인으로 공군에 소속된 창공구락부(蒼空俱樂部)의 일원으로 활약한 바 있다.

또한, 서울이 수복되어 환도가 이루어진 다음에는 조지훈(趙芝薰) 등과 함께 ≪문학예술 文學藝術≫의 시 추천을 맡아보았으며, 1957년에는 한국시인협회에 관계한 바도 있다. 그 뒤 1960년 문공부의 문정관으로 일본에 건너가서 그곳에 눌러앉았다.

그의 문단 활동은 1939년 학부재학 때 ≪문장 文章≫의 추천제에 응모하여 그해 5월호에 시 <풍장 風葬>과 <북극권 北極圈>이 뽑히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이 때 추천자인 정지용(鄭芝溶)은 그의 작품에 대하여 “패기도 있고 꿈도 슬픔도 넘치는 청춘이라야 쓸 수 있는 시”라고 하면서 “선이 활달하기는 하나 치밀하지 못한 것이 흠”이라는 것과 외국어를 많이 쓴 것을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같은 해 ≪문장≫에 시 <가정 家庭>과 1940년 3월호에 <놉새가 불면>을 발표하였다.

그는 등장 초기부터 경향시의 정치 지향성과 모더니즘계 시에 대하여 모두 반발하면서 그 나름대로의 순수시를 쓰려는 자세를 보였다. 추천완료 소감으로 발표한 <나의 작시설계도(作詩設計圖)>(문장, 1939.9.)에서 이러한 자세를 표명한 바 있다. 그는 과작(寡作)의 시인으로 생전에는 시집을 내지 않았으나 죽은 뒤 1976년 ≪이한직시집≫이 발간되었다.

참고문헌

「李漢稷의 詩와 人間」(崔光烈, 『詩文學』, 1977.5.)
『한국현대시사』 2(김용직, 한국문연, 1996)
「이한직(李漢稷)의 시(詩)와 인간」(최광렬, 『시문학』, 1977.5.)
「황해(黃海) 또는 마드리드의 창부(娼婦)-이한직(李漢稷)의 비애-」(김춘수, 『한국문학』, 1977.5.)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용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