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긍재 ()

현대문학
인물
해방 이후 「꿈과 문학」, 「문학과 연애의 문제」 등을 저술한 평론가. 문학평론가, 언론인.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8년
사망 연도
1962년
출생지
황해도 연백
목차
정의
해방 이후 「꿈과 문학」, 「문학과 연애의 문제」 등을 저술한 평론가. 문학평론가, 언론인.
생애 및 활동사항

황해도 연백 출생. 일본 도쿄의 주오대학[中央大學] 법문학부를 졸업하였다. 광복 후 서울예술대학 강사(1946), 『연합신문』 편집국장, 숙명여자대학교 강사(1951), 『평화신문』 논설위원(1952), 민주당 문화부차장(1956) 등을 역임하였다.

광복 직후 좌우익의 대립으로 문단이 분열되고 있을 때, 김동리(金東里)·조연현(趙演鉉)·곽종원(郭鍾元) 등과 함께 우익진영의 비평가로 활약하여 『백민(白民)』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을 옹호하는 평론을 많이 썼다.

1947년 9월 『백민』에 「꿈과 문학」을 발표하여 비평활동을 시작하였으며, 주요평론으로는 「문학과 연애의 문제」(백민, 1948.1)·「문학과 현실」(백민, 1948.7)·「자유와 반자유의 예술」(문예, 1953.2)·「회의(懷疑)와 모색(摸索)의 계제(階悌」(문화세계, 1953.7)·「제3문학관의 독소성(毒素性)」(문예, 1953,9.)·「문학과 정치의식」(현대공론, 1954.8) 등이 있다.

당시 좌익문인 중의 전위평론가였던 김동석(金東錫)과도 여러 차례 논쟁을 벌였는데, 정치주의문학과 공리주의문학을 배격하고 새로운 휴머니즘에 입각한 본격문학을 주장하였다. 6·25 이후 정계에 투신하여 민주당에 가담하였다.

한국전쟁 직후인 1952년 1월에 부산에서 조병옥(趙炳玉)·박연희(朴淵禧)와 함께 정치적 성격의 잡지인 『자유세계(自由世界)』를 간행하여 전시의 어려움 속에서도 종합지를 만드는 데 기여하였으며, 서울 환도 후 『신세계(新世界)』로 개제하여 발행하였다.

부산 피난시절 개헌으로 힌한 정치파동 때 「호헌선언문(護憲宣言文)」을 영어로 번역한 혐의로 체포되었다. 담백하고 악의없는 호인으로 정계투신 후에는 문학활동이 활발하지 못하였다.

참고문헌

『해방직후의 문학운동론』(신형기, 화다, 1988)
「문학은 스케일이 좁다던 임긍재」(박연희, 『현대문학』 98호, 1963.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