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개

목차
공예
개념
공예품 제작용이나 장신구용 재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가공한 조개껍데기.
목차
정의
공예품 제작용이나 장신구용 재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가공한 조개껍데기.
내용

원패(조개)의 부위에 따라 본패(本貝 : 바닥패) · 귀패 · 칼패로 구분되는데, 본패는 주로 주1을 가공할 때 주름질용으로 쓰이며, 귀패는 무늬가 다량으로 필요한 경우 금형으로 그 무늬를 만들어 기계에 설치한 뒤 반복 작업을 하여 나전무늬를 생산한다.

또 칼패는 가늘게 썰어 끊음질용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자개를 가공하는 사람을 가리켜 ‘원패 가공사’, ‘자개 기술자’라고 일컫는다.

원패는 산지별 · 색상별 · 형태별로 그 용도가 다르다. 현재 업계에서 사용하는 것은 소라패(green snail shell) · 진주패(mop 주2 · 홍패(winged pearl shell) · 수돌패(trocas shell) 등으로 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국내산으로는 남해안(통영 · 여수 등) 일대와 제주도 근해에서 약간씩 채집되는 전복패(abalone shell : 색패)가 있다.

외국에서 수입하는 조개는 면적이 넓어 공예품 재료로 활용가치가 크지만 색상이 별로 좋지 않은데 비하여, 국내산은 색상이 오색영롱하여 공예적 가치가 우수하지만 크기(면적)가 작아 효용 가치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1960년대 이후 일본에서 다량 생산되는 양식진주의 부산물인 양식진주패(mop shell)를 염색 가공하여 사용하는 예도 있다.

패류(貝類)는 동물 분석학상 연체동물(軟體動物)에 속하는데 고생대(古生代) 캄브리지아기(紀 : 약 5억5천만년 전)부터 지구상에 살아온 흔적이 있으며 지질시대와 더불어 수많은 진화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까지 11만2천여 종이 알려져 있는데 우리 나라에서 서식하고 있는 조개류는 600여종에 이르고 있으며, 나전칠기용 조개류는 5∼6종에 불과하다.

자개의 원패인 조개는 지방에 따라서 조갑지 · 조가지 · 조가비 · 조개비 등으로 불리고, 또 크기나 색채에 따라서 대합(大蛤) · 중합 · 소합 · 백합(白蛤) · 황합(黃蛤) · 문합(文蛤) 등으로 부르고 있다.

소라 · 고동 · 골뱅이 · 달팽이 · 비틀이 · 고막 · 보말 등도 널리 통용되고 있으나 나전칠기계에서는 극히 일부만 활용하고 있다.

참고문헌

『라전칠기 칠공연구(螺鈿漆器 漆工硏究)』(이칠룡, 미진사, 1984)
『고려나전칠기연구』(곽대웅, 미진사, 1984)
주석
주1

광채가 나는 자개 조각을 여러 가지 모양으로 박아 넣거나 붙여서 장식하는 공예 기법.    우리말샘

주2

진주조갯과의 하나. 껍데기의 길이와 높이는 7~10cm이고 두 조각이며, 어두운 자녹색에 비늘 모양의 얇은 조각이 겹쳐서 쌓여 있다. 안쪽은 아름다운 진주광택이 나는데 진주를 지니고 있다. 껍데기는 세공에 쓴다. 물이 잔잔한 수심 5~20미터 되는 곳에 사는데 한국 남부,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