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목활자본. 1937년 손자 용호(鏞瑚)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하겸진(河謙鎭)·안정려(安鼎呂)의 서문이, 권말에 조현규(趙顯珪)·안종화(安鍾和)와 용호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49수, 서(書) 25편, 잡저 3편, 제문 3편, 권2에 부록으로 가장·유사·행장·행략·묘표·묘지명·묘갈명 각 1편, 만사 50수, 제문 15편, 한천재시후 1편, 기(記) 2편, 문(文) 2편, 명(銘)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야인의 소박한 감정으로 사실 묘사에 역점을 둔 것이 많다. 「한천팔경(寒泉八景)」과 「산당우음(山堂偶吟)」은 산중의 특이한 경치를 보고 그 경치에 알맞은 명칭을 붙이고, 또 그 명칭에 근사한 내용을 찾아 읊은 것이다. 「증안처인(贈安處仁)」과 「증조양언(贈趙良彦)」은 친구들에게 자기의 소신을 시로 표현하여 알린 것이며, 「만앵(晩鶯)」과 「오동수학(梧桐睡鶴)」은 그 묘사가 뛰어나다.
서(書)의 「상성재선생(上性齋先生)」은 스승인 허전에게 안부와 공부하는 방법을 묻는 내용이다. 「통본향유림문(通本鄕儒林文)」은 산청 유림에 보낸 편지다. 이 안에서 그는, 정구(鄭逑)가 그 지방의 관장으로 와 있을 때에는 학문을 권장하고 풍속을 진작시켜 효자와 효부가 끊이지 않았는데, 지금은 그러한 모습을 찾아볼 수 없으니 힘을 합하여 미풍양속을 되살려보자고 건의하였다.
잡저의 「취정록(就正錄)」은 1865년(고종 2) 허전을 찾아가 학문을 배우기까지의 경과를 적은 것이고, 「안방록(安倣錄)」은 1888년 안동·영주 지방을 순방한 기록으로서 당시의 인물·풍물·경치가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