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군석 ()

목차
과학기술
개념
경상북도 봉화군 재산면 장군광산에서 산출하는 망간광석 중에서 발견한 신종광물.
목차
정의
경상북도 봉화군 재산면 장군광산에서 산출하는 망간광석 중에서 발견한 신종광물.
내용

장군석(將軍石, Janggunite)은 1975년에 김수진(金洙鎭) 박사가 처음 발견하여 국제광물학회연합(IMA)의 공인을 받은 국내 최초의 신종광물이다. 신종광물이란 지각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자연산 고체 무기화합물 중에서 그 존재가 처음으로 알려지게 된 것을 가리킨다. 장군석의 발견은 산화망간물의 결정화학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고, 국제학계에 한국 광물학 연구의 수준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장군석은 세립질이어서 큰 것이 0.13㎜이고, 보통 0.05㎜의 크기이다. 흑색을 띠고 조흔(條痕)은 갈흑∼암갈색이며 광택은 무염이다. 경도는 2∼3이고 불투명이다. 반사현미경하에서는 다색성을 보여주며 백색에서 담회색으로 변한다. 광학적 이방성이 대단히 강하다. 편광색은 공기 중에서 청색을 띤 황갈∼회색을 보여주며, 침액 중에서는 황갈∼청갈∼회색을 보여준다. 복반사율과 이방성은 공기 중에서보다도 침액 중에서 더 강하다.

장군석은 한 방향의 완전한 벽개를 가지고 있으며, 평행소광 현상을 보여준다. 내부반사는 관찰되지 않는다. 반사도는 낮아서 13∼15%이고, 비중은 3.59(측정값), 3.58(이론값)이다.

장군석을 전자현미분석기 및 습식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360}} 4.91, MnO 11.33, {{#357}} 4.19, PbO 0.03 {{#347}}(+) 9.46%로 구성되어 있었다. {{#347}}가 광물 내에 어떤 상태로 존재하는가를 알기 위하여 적외선흡수분광분석을 실시한 결과 (OH)로 존재함이 밝혀져서 이 화학분석값으로부터 얻는 화학식은 {{#361}}이다. 간단히 표시하면 {{#362}}이다.

반사현미경하에서 부식실험한 결과 HCl(conc)에서 회색으로 퇴색, {{#363}}+{{#347}}에서 회색·퇴색, {{#364}}에서 암색, {{#365}}(conc)에서 회색, {{#366}}에서 거품을 내며 퇴색하고, {{#363}}(conc)와 KCN 및 {{#367}}에는 반응하지 않는다. X석 회절분석 결과 장군석은 사방정계에 속하며 단위포의 격자상수는 a=9.324Å, b=14.05Å, c=7.956Å이다. 단위포함량은 4이다.

장군석은 장군광산의 산화망간광상 내에서 산출된다. 그런데 산화망간광석은 백운암 층 내에 배태되어 있는 탄산망간광석이 지표 부근에서 지하수와 반응하여 생성되었기 때문에 장군석도 표성기원 광물이다.

참고문헌

「경북 봉화군 장군광산산 신종광물 장군석(將軍石)에 대한 광물학적연구」(김수진, 『광산지질』 8, 1975)
Janggunite, a new manganese hydroxide mineral from the Janggun mine, Bonghwa(Kim,S.J., Korea, Mineralogical Magazine 41, 1977)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