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군화통 ()

목차
과학기술
유물
조선 전기에 사용하던 화포(火砲).
목차
정의
조선 전기에 사용하던 화포(火砲).
내용

1448년(세종 30)의 화약무기 대개량 때 제조된 것으로 당시에 가장 큰 포(砲)였다. 현재까지 남아 있는 것은 없고, 《국조오례서례》의 ‘병기도설’에 자세한 설명이 있다.

청동으로 만들어진 장군화통의 구조는, 앞에는 발사물인 대전(大箭)을 장진하는 취(觜)가 있는데, 길이 1척 7촌(52.1㎝), 안지름 3촌 2푼 3리(9.9㎝), 바깥지름 13.8㎝(겉둘레의 길이인데 바깥지름으로 환산하였음.)이다. 다음에는 길이 3촌7푼7리(11.5㎝)의 격목통(激木筒)이 있다.

이것은 약통 속의 화약이 폭발할 때 폭발력을 최대로 하여 발사물을 발사하기 위한 격목을 박는 곳인데, 앞쪽의 안지름은 취의 안지름과 같은 3촌 2푼 3리(9.9㎝), 그리고 뒤쪽(약통쪽)의 안지름은 약통의 안지름과 같은 2촌 8푼 6리(8.8㎝)로 앞쪽 안지름보다 뒤쪽의 안지름이 5푼7리(1.7㎝) 정도 작게 되어 있다.

즉, 취 쪽에서 약통 쪽으로 갈수록 안지름이 좁게 되어 있어 이곳에 지름 9.7∼9.8㎜짜리 둥근 통나무를 격목박는 쇠망치인 철추로 박는다. 격목통 뒤쪽에는 화약을 넣는 약통이 있는데, 안지름은 격목통의 뒤쪽과 같은 2촌8푼6리(8. 8㎝)이며, 길이는 7촌 8푼 8리(24.2㎝)이다.

약통의 뒷부분은 막혀 있고 두께는 1촌 5푼 5리(4.8㎝)이다. 장군화통 전체의 길이는 2척 8촌 6푼 5리(87.8㎝)이며, 무게는 104근 10냥이다.

취와 격목통에 있는 마디는 모두 8개이며, 취의 중앙과 격목통 위에는 문고리 같은 타원의 큰 고리 2개가 붙어 있어 이곳에 긴 통나무를 끼워 네 사람이 총통을 들고 운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장군총통에 대전을 넣고 쏠 때의 사정거리는 1,300여보(步) 정도이다.

참고문헌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화포식언』
『한국초기화기연구(火器硏究)』(채련석, 일지사, 1981)
집필자
채연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