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과정곡 ()

목차
고전시가
작품
고려 때 정서(鄭敍)가 지은 가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때 정서(鄭敍)가 지은 가요.
내용

고려 때 정서(鄭敍)가 지은 가요.

『고려사』 악지에 제작동기와 이제현(李齊賢)의 해시(解詩)가 수록되어 있으며, 우리말 노래는 『악학궤범(樂學軌範)』에 전한다. 또, 『대악후보(大樂後譜)』에는 노래와 함께 곡조도 아울러 표시되어 있다.

우리말로 전하는 고려가요 가운데 작자가 확실한 유일한 노래이다. 『고려사』 악지에 따르면 작자는 인종과 동서간으로서 오랫동안 왕의 총애를 받아왔는데, 의종이 즉위한 뒤 참소를 받아 고향인 동래로 유배되었다.

이 때 의종은 머지않아 다시 소환하겠다고 약속했으나 오래 기다려도 소식이 없었다. 이에 거문고를 잡고 이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작자가 귀양에서 풀려난 것은 무신란이 일어나 명종이 즉위한 해였다. 작자의 호를 따서 후세 사람들이 이 노래를 ‘정과정’이라 하였다.

유배지에서 신하가 임금을 그리워하는 정을 절실하고 애달프게 노래하였다 하여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로 널리 알려졌으며 그 때문에 궁중의 속악 악장으로 채택되어 기녀(妓女)는 물론 사대부간에도 학습의 대상이 되었다.

그래서 후대에 정철(鄭澈)의 「사미인곡(思美人曲)」·「속미인곡(續美人曲)」 같은 연주지사의 원류가 되었다. 이 노래의 제작 연대에 대하여서는, ① 1151년(의종 5)∼1170년(의종 24), ② 1151년(의종 5)∼1157년(의종 11), ③ 1166년(의종 20) 이후, ④ 1170년(의종 24) 9∼10월 등 여러 견해가 있다.

여기에서 의종 5년이 준거가 되는 것은 이 해가 의종의 아우를 추대하려는 음모에 작자가 가담했다는 참소를 입어 동래로 귀양갔기 때문이며, 『고려사』 악지의 해설을 존중하여 귀양간 이후 상당 기간이 흐른 이후의 어느 시기에 임금의 소환을 기다리며 지은 것으로 추정하기 때문이다.

또, 의종 24년으로 보는 근거는 이 해에 무신의 난이 발생하여 의종이 폐위되고 작자는 소환되기는커녕 다시 거제도로 귀양가게 되었는데, 이 때 의종이 축출됨을 슬퍼하는 동시에 자기의 곧은 절개는 변하지 않겠다는 맹세의 심정을 노래한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노래의 내용과 『고려사』의 해설이 더욱 일치하므로 앞의 견해가 더 타당성이 있다.

형식은 문학상으로는 10구체 단련(單聯)으로 되어 있으며, 악곡상으로는 속악에서 가장 빠른 템포인 ‘삼진작(三眞勺)’으로 모두 11개의 악절로 나뉘어 불렸다.

그래서 악곡상의 변화에 따라 행(行)을 구분하면 모두 11행이지만 악곡상의 제8행인 삼엽(三葉) 부분과 제9행인 사엽(四葉) 부분을 통합하여 전체를 10행으로 다루면서 문학적 형식으로는 10구체 사뇌격(詞腦格) 향가의 계승으로 간주한다.

그런데 이 작품은 사뇌가의 양식을 수용하면서도 ‘아소 님하’라는 낙구(落句)의 위치가 정통 사뇌가와 다르다는 점에서 사뇌가의 해체되는 모습을 찾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작품의 장르를 향가에 귀속시키고 쇠퇴기의 향가 혹은 향가의 잔존형태로 처리한다.

아니면 별곡(別曲)의 양식이 나타나기 이전의 특수 형태라 하여서 전별곡적(前別曲的) 형태라 부르기도 한다. 한편, 이 노래의 제5행과 제6행의 사설이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의 제3연과 의미론적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 부분은 당대에 유행하던 민요사설을 수용한 것으로 보아, 이 노래를 10구체 사뇌격 향가라는 기존 장르의 양식적 변용에다 당대의 유행 민요를 복합적으로 수용하여 창출한 독특한 형태로 이해하기도 한다.

『악학궤범』에 수록된 노래의 원문과 현대어 풀이는 다음과 같다.

① 원문

(前腔) 내님믈 그리ᅀᆞ와 우니다니

(中腔) 山 졉동새 난 이슷ᄒᆞ요이다

(後腔) 아니시며 거츠르신ᄃᆞᆯ 아으

(附葉) 殘月曉星이 아ᄅᆞ시리이다

(大葉) 넉시라도 님은 ᄒᆞᆫᄃᆡ 녀져라 아으

(附葉) 벼기더시니 뉘러시니잇가

(二葉) 過도 허믈도 千萬 업소이다

(三葉) ᄆᆞᆯ힛 마러신뎌

(四葉) ᄉᆞᆯ읏브뎌 아으

(附葉) 니미 나ᄅᆞᆯ ᄒᆞ마 니ᄌᆞ시니잇가

(五葉) 아소 님하 도람 드르샤 괴오쇼셔

② 현대어 풀이

내 님을 그리워하여 울고 있더니/접동새와 나와는(그 울고 지내는 모양이) 비슷합니다그려./(그 누가 옳고 그른 것이) 아니며(모든 것이) 거짓인 줄을/(오직) 지새는 새벽달과 새벽별만이(저의 충정을) 아실 것입니다./(살아서 임과 함께 지내지 못한다면) 죽은 혼이라도 임과 한자리에 가고 싶습니다. 아―/(임의 뜻을)어기던 사람이 누구였습니까(저 자신이었습니까, 그렇지 않으면 간신배였읍니까)./(참으로) 過失도 허물도 전혀 없습니다./(임께서 죄 없는 몸이라고 용서하시고 召命하실 줄 알았더니) 말짱한 말씀이었구나.(거짓말이었구나)/(정말) 죽고만 싶은 것이여. 아―/임께서 벌써 저를 잊으셨습니까./맙소서 임이시어, 돌려 들으시어 사랑하소서. (박병채 역)

사설의 내용을 살펴보면, 처음 두 줄에서는 임을 그리워하며 울고 있는 모습이 산에 사는 접동새와 비슷하다고 하였다. 그 다음 두 줄은 자기 죄가 임금이 알고 있는 것처럼 그렇지 않으며, 참소당한 바가 허망하다는 것을 새벽달과 새벽별이 알 것이라 하였다.

그리고는 넋이라도 한데 가고 싶다고 하였던 사람이 누구였던가 따지며, 임금이 자기를 버린 것을 안타깝게 여겼다. 그래서 잘못도 허물도 전혀 없다 하고, 그 모두가 참소하는 무리들의 말일 따름이니 죽고 싶다고 하였다. 마지막 두 줄에서는 임이 자기를 벌써 잊었는가 묻고, 마음을 돌려 총애하여 줄 것을 간청하였다.

이제현은 이 노래를 「소악부(小樂府)」라 하여 칠언절구의 한시로 그 뜻을 다음과 같이 풀이하였다. “님을 생각하여 옷을 적시지 않을 때 없으니/봄철 산 속의 접동새와 같도다/옳고 그름을 사람들이여 묻지 말라/지는 달과 새벽별만은 알아 주겠지[憶君無日不霑衣 政似春山蜀子規 爲是爲非人莫問 只應殘月曉星知].” 사설내용의 맥락을 살피면 이 노래는 신충(信忠)의 「원가(怨歌)」와 연결된다.

자기를 돌보아 주겠다고 한 임금의 약속이 지켜지지 않음을 모티프로 하여 노래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노래는 「원가」와 달리 원망보다는 하소연의 농도가 짙다. 자신의 위치를 아주 낮추고 버림받았더라도 임을 그리워하는 마음에는 변함이 없음을 강조했다.

어떤 이는 이 노래가 옛날부터 내려오던 민요인 속가(俗歌)에서 6구체 형식을 이어받아 무가적(巫歌的)인 성격을 지닌 형식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세종실록』 세종 1년(1419) 정월조에 의하면 진작(眞勺)에는 만조(慢調)·평조(平調)·삭조(數調)가 있다 하였고, 후전진작(後殿眞勺)의 이름으로도 쓰이며, 속악 조명(調名)이라고도 하였다. 진작은 ‘進酌(진작)’·‘進爵(진작)’, 즉 잔치인 주연과 관계가 있는 듯하다.

『대동운부군옥』에 의하면 “진작에는 일(一)·이(二)·삼(三)·사(四)가 있는데, 일진작이 가장 느리고, 이·삼·사는 이에 버금한다.”라고 되어 있어 일진작은 가장 느리고, 이진작·삼진작·사진작으로 내려가면서 점점 빨라지는 형식임을 알 수 있다. 이를 진작사체(眞勺四體) 또는 진작사체사성(眞勺四體四聲)이라고도 한다.

『대악후보』에 전하는 악보를 해독하여 보면 진작 일·이·삼에는 가사를 얹어 노래를 부르지만, 사는 장단과 가락이 반으로 축소된 까닭에 가사를 붙일 수 없고, 따라서 음악만 연주하게 되어 있다. 전통음악의 형식에 있어서 일·이·삼·사는 만조·평조·삭조 또는 만기(慢機)·중기(中機)·삭기(數機)로 쓰기도 한다.

현재의 곡조 가운데서 옛 형식을 갖춘 것에도 「영산회상(靈山會相)」중 상영산(上靈山: 긴영산)·중영산(中靈山)·세영산(細靈山: 잔영산)·가락덜이의 형식과 산조의 진양조(긴조)·중몰이·잦은몰이·휘몰이의 형식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옛 형식을 복고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일·이·삼, 만(慢)·평(平)·삭(數), 만(慢)·중(中)·삭(數)은 다음 곡으로 내려가면서 속도가 빨라지고 복잡한 가락에서 점점 성긴 가락으로 변하는 점이 특징이다.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대악후보(大樂後譜)』
『악학궤범(樂學軌範)』
『정과정가신연구』(권영철, 형설출판사, 1970)
『고려가요어석연구』(박병채, 선명문화사, 1968)
「음악적 측면에서 본 고려가요 -정과정을 중심으로-」(양태순, 『고려가요연구의 현황과 전망』,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6)
「정과정의 종합적 고찰」(양태순, 『한국고전시가작품론』1, 집문당, 1992)
「정과정의 정서와 공간」(이경희, 『고려시가의 정서』, 개문사, 198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