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록 ()

목차
관련 정보
정기록
정기록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시대 문신 · 의병장 고경명과 맏아들 종후 · 둘째아들 인후의 충절 정신과 그 사실을 기록 1599년에 간행한 실기. 충절기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문신 · 의병장 고경명과 맏아들 종후 · 둘째아들 인후의 충절 정신과 그 사실을 기록 1599년에 간행한 실기. 충절기록.
내용

1책. 목판본. 책의 이름을 ‘정기록’이라 한 것은 중국 송나라의 충신 문천상(文天祥)의 「정기가(正氣歌)」에 비유해서 이 책의 서문(序文)을 지은 윤근수(尹根壽)가 거기에서 두 글자를 따서 명명한 것이다.

고경명의 아들 유후(由厚)가 이 책을 편찬하고 1599년(선조 32) 유후의 아우 용후(用厚)가 증보, 간행하였다. 본문은 전라도내에 보낸 격서(檄書), 제주절제사 양대수(楊大樹)에게 보낸 격서, 제도(諸道)에 보낸 격서, 각 도에 보낸 통문, 전라도도순찰사에게 보낸 격서, 재상에게 보낸 서한과 별지(別紙), 담양최우(崔遇)에게 보낸 서한, 해남·당진 두 원에게 보낸 격서 등이 수록되었다.

이 밖에 도내에 발송한 복수문(復讐文), 두 번째 도내에 보낸 격서, 각 사찰의 승도에게 보낸 통문, 제주에 보낸 격서, 제주 삼가(三家)에 보낸 통문, 이적(李適)과 주고받은 서한과 별지, 도내에 보낸 격서, 진사 백진남(白振南)에게 답한 편지 등을 실었다.

또한 윤근수·이정구(李廷龜)·이덕형(李德馨)·이항복(李恒福)·유근(柳根) 등의 서문이 있다. 이외에 정경세(鄭經世)·신흠(申欽)·박승종(朴承宗)·윤훤(尹暄)과 명나라의 어사 손원화(孫元化)와 고용후·김수항(金壽恒)·신익성(申翊聖)·임성헌(林聖憲)·조명교(曺命敎)·박광일(朴光一)·조현명(趙顯命) 등의 발문이 있으며, 사제문(賜祭文)·충렬공시장(忠烈公諡狀) 등이 수록되었다. 부록으로 신도비문·묘갈명·연보 등을 실었다.

그런데 인조 이후의 발문은 모두 중간할 때에 추가된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그 뒤 몇 차례 중간되었다. 1977년 충렬공 제봉(霽峯)고경명의 기념사업회가 발족되어 다음해에 국역본이 간행되었다.

참고문헌

『제봉집(霽峯集)』
「정기록해제(正氣錄解題)」(강주진, 『국역제봉전서(國譯霽峯全書)』, 1980)
관련 미디어 (6)
집필자
이장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