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길 ()

난곡유고 / 정길
난곡유고 / 정길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죽천사실」, 『난곡유고』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자정(子正)
난곡(蘭谷)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66년(명종 21)
사망 연도
1619년(광해군 11)
본관
하동(河東)
출생지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죽천사실」, 『난곡유고』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하동(河東). 자는 자정(子正), 호는 난곡(蘭谷).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정유일(鄭惟一)이며, 어머니는 죽산안씨(竹山安氏)로 군수 안수금(安秀嶔)의 딸이다. 박광전(朴光前)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는데, 어려서부터 재주가 뛰어나 스승으로부터 총애를 받았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89년(선조 22) 이이(李珥)·성혼(成渾)·박순(朴淳) 등을 탄핵하는 시론(時論)이 일어나자 이에 실망하여 벼슬에 나아갈 것을 체념하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 때에는 스승인 박광전과 의병을 일으켜 여러 곳에서 적과 싸워 전공을 세웠고, 전쟁이 끝난 뒤에는 여러 뜻있는 선비들과 함께 경전 수백 부를 간행하여 사습(士習)의 진작에 힘썼다.

1606년 생원시에 합격하여 태학(太學)에 들어갔으며, 1611년(광해군 3) 정인홍(鄭仁弘)이 이언적(李彦迪)과 이황(李滉)의 문묘종사를 논핵하자 태학생인 이목(李楘)·오전(吳竱) 등 200여명과 함께 상소를 올려 정인홍을 배척하는 데 앞장섰으며, 이로 인하여 금고에 처하는 형을 받았다가 안방준(安邦俊) 등의 도움으로 풀려났다.

그 뒤 용산서원(龍山書院)의 창건에 힘썼고, 박광전의 사적인 「죽천사실(竹川事實)」을 지었다. 뒤에 육현사(六賢祠)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난곡유고(蘭谷遺稿)』 4권이 있다.

참고문헌

『난곡유고(蘭谷遺稿)』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