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사 ()

목차
관련 정보
우암문집 / 사우의정소
우암문집 / 사우의정소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관원이 사정으로 말미암아 국왕에게 사직 · 휴직 · 휴가 등을 청하는 문서.
목차
정의
조선시대 관원이 사정으로 말미암아 국왕에게 사직 · 휴직 · 휴가 등을 청하는 문서.
내용

정사의 사유로는 병친(病親)·신병(身病)·근친(覲親)·소분(掃墳)·가토(加土)·분황(焚黃 : 관직이 추증될 때 사령장의 副本을 추증자의 무덤 앞에서 불태우던 일)·영분(榮墳)·귀장(歸葬)·성혼(成婚)·침구(鍼灸)·목욕(沐浴) 등이 있다. 그 서식은 다음과 같다.

具銜臣姓名署名(구함신성명서명)

右謹 啓臣矣段臣矣身云云爲白良結望良白去乎詮次(우근 계신의단신의신운운위백량결망량백거호전차)

善啓向敎是事望良爲白臥乎事是亦在謹 啓年號幾年某月日(선계향교시사망량위백와호사시역재근 계년호기년모월일)

이때 정사의 사유에 따라 ‘云云(운운)’의 기재가 달라지게 된다. 신병의 사유로 정사를 올릴 경우는 대개 사직을 청하는 내용이 되며, 그럴 경우 왕의 허락이 잘 내리지 않으면 두 번, 세 번 계속하여 정사를 낸다.

정사의 원본으로는 1895∼1896년의 것 100여 통이 전해지고 있고, 관찬사서인 『조선왕조실록』 및 『승정원일기』·『일성록』 등과 여러 문집 등에 전재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사직을 청할 경우는 상소(上疏)의 서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예인 듯하다.

참고문헌

『전율통보(典律通補)』
『한국(韓國) 고문서(古文書) 연구(硏究)』(최승희, 지식산업사, 1989)
『고문서(古文書)』3(서울대학교도서관, 1987)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최승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