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6판. 172면. 1910년대 유흥의 장을 중심으로 불려지던 노랫말을 수집하여 간행한 잡가집이다. 1914년 평양 광문책사(光文冊肆)에서 초판이 발행되었고, 1915년 증보 5판이 간행되었다. 초판이 간행된 지 1년 만인 1915년에 5판이 간행된 것으로 보아 일반의 호응을 많이 받은 듯하다. 1914년 간행된 초판은 지금까지 알려진 잡가집 가운데 가장 연대가 이른 것이다.
저작자는 한인석이라고 되어 있으나 한인석이 이들 노랫말을 창작한 것은 아니며, 당시 유흥의 장에서 불려지고 일반인들도 즐겨 부르던 노랫말을 채집하여 편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노랫말의 일부가 그 이전부터 있었으며 또한 여러 잡가집에 같거나 비슷하게 수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목록에서는 제일회에 「추풍감별곡」을 싣고, 제이회에서는 「자운가」, 제삼회에서는 「춘면곡」에 이어 「진정부」·「청루원별곡」 등의 순으로 싣고 있으나, 본문에서는 이러한 제일회, 제이회 등의 차례가 표기되어 있지 않다. 본문은 상하 2단으로 나뉘어 상단 일·이행을 읽은 다음 하단 일·이행을 읽고 다시 상단 삼·사행을 읽고 다시 하단 삼·사행을 읽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게재 형식은 제이십오회 시조 전까지 계속되고 있다.
노랫말의 상단에는 노랫말에 해당하는 한자를 달아 놓아 그 이해를 돕고 있다. 시조부터는 줄글로 수록하여 놓았다. 「추풍감별곡」을 제일 앞에 내세우고 있는데, 이는 평양에서 이 노래가 널리 불려진 것을 그대로 반영한 듯하다. 그러면서 시조를 뒤로 돌려 상대적으로 시조의 비중을 낮춘 인상을 주고 있으며, 시조의 한자 표기도 시조(詩調)로 되어 있는데, 이는 오식이라 할 수도 있으나 그 이해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증보 이후 54편에 달하는 많은 잡가를 수록하고 있어 그 내용이 비교적 풍부한 편이며, 최초로 간행된 잡가집이라는 선구적 역할을 하였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