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재성 ()

유교
인물
조선후기 『경의집록』, 『거가요범』 등을 저술한 학자. 의병장.
이칭
성재(聖哉)
국담(菊潭)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81년(숙종 7)
사망 연도
1743년(영조 19)
본관
상주(尙州)
출생지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경의집록』, 『거가요범』 등을 저술한 학자. 의병장.
개설

본관은 상주(尙州). 자는 성재(聖哉). 호는 국담(菊潭). 주세붕(周世鵬)의 방손으로, 주각(周珏)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부터 『근사록(近思錄)』과 『주자대전(朱子大全)』을 탐독하고 「위학입교도(爲學立敎圖)」와 「오륜론(五倫論)」을 지어 실천에 힘썼다.

17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정희량(鄭希亮)의 난 때 의병을 일으켜서 김해진군(金海鎭軍) 병사들과 함께 영호남을 잇는 길목을 방어하였다. 이때 군사들이 밥을 짓는 솥에 뚜껑이 없는 것을 보고 스스로 4백 개를 준비하여 바치기도 하였다.

또한, 그 때 군량을 보급하기 위하여 가산을 팔아 쌀 300섬을 내어놓았다. 난이 평정된 뒤 고향에 돌아와 학문 연구와 훈고(訓詁)에 전심하였으며 후진 양성에 심혈을 기울였다. 관찰사 황선과 암행어사 박문수(朴文秀)가 조정에 주재성을 천거하였으나 등용되지 않았다.

죽은 지 3년 뒤인 1745년(영조 21) 승정원 좌승지 겸 경연참찬관에 추증되었으며, 1783년(정조 7) 영남 유생의 상소로 정려(旌閭)되고 이어 1788년(정조 12) 기양서원(沂陽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중용(中庸)』과 『대학(大學)』을 주석한 『용학강의(庸學講義)』, 『논어(論語)』 · 『맹자(孟子)』 · 『주역(周易)』 등을 추연한 『경의집록(經義輯錄)』, 중국과 우리나라의 역대 예설(禮說)을 집약한 『거가요범(居家要範)』 등이 있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국조보감(國朝寶鑑)』
『대산문집(大山文集)』
『성재집(性齋集)』
집필자
권오호(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