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뿔도 모른다

목차
구비문학
작품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 아는 체하는 것을 빗대어 말하는 속담설화.
목차
정의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 아는 체하는 것을 빗대어 말하는 속담설화.
내용

쥐에는 뿔이 없으니 아무것도 모른다는 의미로 사용한다. 비슷한 뜻으로 ‘쥐좆도 모른다.’라는 속담이 쓰이는데, 이 속담과 관련하여 여러 이야기가 구전된다.

옛날 한 고을에 부잣집 마님이 살고 있었다. 마님은 주1를 무시하고 부모를 학대하며, 재물에도 인색하여 남의 미움을 많이 샀다. 그 집에 오래 살던 쥐도 이를 알고 마님을 골탕먹이려 하였다. 어느 날 쥐는 남편과 똑같은 모습으로 변장하고 안방으로 들어갔다. 쥐가 변장한 것을 알 리가 없는 마님은 자기 남편인 줄 알고 함께 잠자리에 들었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이웃 사람들은, “겉모양이 비슷한들 어찌 남편 주2과 쥐 신(腎)을 구별 못하는가? 식별 없는 마님이여!” 하며 놀려댔다. 이런 창피스러운 일을 겪은 후 마님은 개과천선하였다고 한다.

또 다른 이야기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어느 집에 몇백 년 묵은 쥐 한 마리가 살고 있었다. 하루는 주인이 밖에 나가다가 잠깐 변소에 가느라고 갓을 벗어 문간에 놓았는데, 그 사이에 쥐가 그 갓을 쓰고 주인으로 변장을 하였다. 변소에 다녀온 주인은 갓이 없자 이를 찾으려 방으로 들어갔다. 그런데 방에서는 자기와 똑같이 생긴 사람이 부인과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이었다.

주인이 깜짝 놀라 호통을 치자, 변장한 쥐도 맞받아서 호통을 쳤다. 두 사람은 할 수 없이 관가에 고소를 하였다. 사또는 부인을 가운데 세워 놓고, “남편의 몸에 어떤 표적이 없는가?”하고 물었다. 부인은 남편의 신(腎)에 사마귀가 있다고 하였다. 그런데 검사해 보니 두 사람 모두 신(腎)에 사마귀가 있는 것이었다. 사또는 다시 세간살이에 대해 물었는데 진짜 남편이 대답을 못해 쫓겨나게 되었다. 주인은 산 속에 들어가 불도를 닦다가 부처님의 도움으로 고양이 한 마리를 가져와 변장한 쥐를 물리치게 되었다. 그러자 사람들이 “쥐좆도 몰랐소?” 하며 비웃었다.

이러한 이야기들은 쥐의 변신을 통하여 진가(眞假)를 구별하는 이야기들인데. 이후 도대체 뭐가 뭔지 식별을 못하는 사람, 아무것도 모르면서 아는 체하는 사람을 보고 ‘쥐좆도 모른다’고 한다는 것이다.

‘쥐뿔도 모른다’는 속담은 쥐뿔 만큼도, 즉 아무것도 모름을 가리킨다는 나름대로의 뜻을 지니고 있으나, 위의 설화에 따른다면 ‘쥐좆도 모른다’는 표현이 일반적으로 사용하기에 어감상 어려움이 있어 변형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참고문헌

『속담이야기』(김선풍·이용득, 국학자료원, 1993)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한국속담의 근원설화』(강재철, 백록출판사, 1980)
『한국의 속담』(이기문, 삼성문고 84, 1976)
『한국속담집』(한국민속학회, 서문당, 1972)
『속담대사전』(방종현·김사엽, 교문사, 1949)
『조선속담집』(김원표, 정음사, 1946)
주석
주1

부처의 가르침. 우리말샘

주2

남성의 생식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