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곡일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유의남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2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유의남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2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1962년 후손 도현(道顯)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기호(李起鎬)의 서문, 권말에 도현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4수, 만사 20수, 서(書) 3편, 제문 1편, 권2에 부록으로 만사 5수, 행장·묘갈명·묘지명·가장·장후(狀後)·보유(補遺)·입석고유(立石告由)·증유(贈遺)·문견록·발(跋)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고, 끝에 『나산일고(羅山逸稿)』가 합철되어 있다.

시는 4수에 불과하지만 품격이 높고 운율이 청아하다. 「지정(池亭)」에서는 연못 가에 우뚝 서 있는 정자가 주위의 경치와 잘 조화되어 한 폭의 그림과 같으며 또한 시인 묵객의 자취가 이어져 더욱 아름답다고 묘사하였다. 「정갈봉김공(呈葛峰金公)」은 평소 간직하고 있던 웅지와 경륜이 때를 잘못 만나 무위로 끝남을 한탄하고 한층 분발할 것을 당부한 글이다.

「동중삭강입규서(洞中朔講入規序)」는 마을의 서당에서 후학을 지도하기 위해 학규를 만들고 그 동기와 이유를 밝힌 글이다. 학문을 함에 있어서 지식의 습득보다는 덕행을 쌓는 데 힘써야 함을 강조하였다. 「제졸재선생문(祭拙齋先生文)」은 당대의 대학자 채소권(蔡紹權)의 학문과 도덕을 찬미한 글이다.

집필자
권오호(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