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초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용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1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용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1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921년 아들 찬도(贊道)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중철(李中轍)·장석영(張錫英)의 서문, 권말에 정재성(鄭載星)과 손자 종도(淙道)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81수, 만사 31수, 서(書) 7편, 서(序) 3편, 기(記) 1편, 발(跋) 1편, 제문 6편, 행장 1편, 부록으로 가장(家狀)·행장·묘지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웅장하면서도 기교가 있다. 「금원칠영(金猿七詠)」·「적벽부창수(赤壁賦唱酬)」·「청신음(淸晨吟)」 등은 주위의 경관을 묘사하면서 저자의 호방한 기백을 살린 것이다. 그리고 「입춘(立春)」·「술회(述懷)」·「독중용(讀中庸)」은 자기의 사상을 요약, 시로 읊은 것으로 작중의 경치와 잘 조화되어 있다.

서(書)의 「상장사미헌(上張四未軒)」과 「여곽명원종석(與郭鳴遠鍾錫)」은 장목추(張福樞)와 곽종석에게 학문과 상례 등 당시의 중요 사항을 질의 응답한 것이다. 서(序)의 「족보서(族譜序)」는 족보를 중간하면서 그 내력을 밝힌 것이다. 친족간의 화목의 의의, 분파의 순서, 족보의 필요성 등을 설명하였다.

「용천정사향음례서(龍泉精社鄕飮禮序)」는 용천정사에서 향음주례(鄕飮酒禮 : 온 고을의 유생이 모여 향약을 읽고 술을 마시며 잔치하는 예절)를 행한 뒤 그 경위를 설명한 글이다. 1889년(고종 26) 선비들이 모여서 옛 법에 따라 향음례를 행할 것을 약속하고 군수 이만윤(李晩胤)이 녹동(鹿洞)의 고사에 준거해 스스로 동주(洞主)가 되어 행한 사실과 향음례의 방법 및 절차 등이 기록되어 있다.

「문강재중수기(文岡齋重修記)」는 덕곡(德谷)의 학사를 세 번이나 옮겨 지은 일을 기록한 것이다. 이 밖에 이순용(李舜用)의 호에 대해 쓴 「소우서(小愚序)」가 있다.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