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법 ()

목차
과학기술
문헌
조선전기 문신 정도전이 역대의 병서를 참작 · 보충하여 시의에 맞게 순차와 편목을 정하여 저술한 군서. 병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전기 문신 정도전이 역대의 병서를 참작 · 보충하여 시의에 맞게 순차와 편목을 정하여 저술한 군서. 병서.
내용

1권 1책. 활자본. 조선의 개국공신인 정도전이 군대의 훈련과 국방에 대비하도록 역대의 병서를 참작, 보충하여 시의에 맞도록 순차와 편목을 정하여 만든 책이다.

지금 원본이 전하지 않으므로 간행경위는 분명하지 않으나 문헌에 의하면 태조가 초기에 ≪치진절목 置陣節目≫이라는 좋은 책을 펴낸 사실이 있는데 동일본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 책은 1791년(정조 15) 왕이 내각에 명하여 개간한 ≪삼봉집 三峯集≫ 권13에 포함되어 있다.

이 책에는 머리에서부터 총술(總述)·정진(正陣)·결진십오지도(結陣什伍之圖)·오행출진가(五行出陣歌)·기휘가(旗麾歌)·각경가(角警歌)·기정총찬(奇正總讚)·금고기휘총찬(金鼓旗麾總讚)·논장수(論將帥)·무사졸오혜(撫士卒五惠)·용군팔수(用軍八數) 등 각 1편, 삼암(三闇)·삼명(三明) 등 16편이 있다.

그리고 끝에 학자지남도(學者指南圖)·팔진삼십육변도(八陣三十六變圖)·태을칠십이국도(太乙七十二局圖)·오행진출기도(五行陣出奇圖)·강무도(講武圖)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논장수>에서는 현장·지장·용장으로 장수의 재목을 구분, 설명하였고, <무사졸오혜>에서는 사졸을 관리하는 방법으로 엄격함보다 인간적인 면에 중점을 두어서 잘 먹이고 잘 입힐 것, 노고를 덜어줄 것, 병과 상처를 치료해줄 것, 불구자를 어여삐 여길 것, 죽은 자를 애도할 것의 다섯 가지 방법을 열거하고 시행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용군팔수>에서는 재물·공업·기계·시험·교육·훈련·정찰·정밀의 여덟 가지 방법을 열거하고 시행에 철저를 기할 것을 강조하였다.

끝에 첨가된 진형도(陣形圖)는 문종 때 수양대군(首陽大君)에게 명편한 ≪진법≫에 그대로 옮겨져서 전하여 오고 있으나, 그 중 <학자지남도>·<팔진삼십육변도>·<태을칠십이국도>·<오행진출기도> 등은 그 도본이나 결진방법이 일부 손실되어 전하지 않고 있다.

고대의 전법도 ≪주역≫에 근거를 두고 길흉과 승패를 판단하였기 때문에 진법 또한 음양오행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함도 사실이지만, 그 시기에는 그 방법이 최고라고 생각되었고, 또 실전에 있어서도 높은 승률을 유지하고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대부분의 진도가 그러하였으나, 이 책에 기록된 진도는 더 세분되고 더 진보된 것으로 보이지만, 근거를 찾을 길이 없어 아쉽다.

참고문헌

『삼봉집(三峯集)』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