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사 ()

목차
관련 정보
청자상감진사채모란문판
청자상감진사채모란문판
공예
개념
수은(Hg)과 유황(S)과의 화합물인 진홍색 광물. 주사(朱砂) · 단사(丹砂).
이칭
이칭
주사(朱砂), 단사(丹砂)
목차
정의
수은(Hg)과 유황(S)과의 화합물인 진홍색 광물. 주사(朱砂) · 단사(丹砂).
내용

주사(朱砂) 또는 단사(丹砂)라고도 한다. 보통 덩어리모양으로 점판암(粘板岩)·혈암(頁岩)·석회암(石灰岩)에서 산출된다.

투명 또는 불투명하며 경도(硬度)는 2∼2.5, 비중은 8∼8.2의 광석으로 수은 제조, 적색 채료(彩料), 약용으로 쓰인다. 도자기의 안료(顔料)로는 구리를 넣어 무늬를 그리는 데 사용되며, 무늬 위에 투명유를 발라 환원염(還元焰)으로 구우면 홍색으로 발색되기 때문에 이를 진사자기(辰砂磁器)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2세기에 이미 사용되기 시작하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청자진사채모란문완(靑磁辰砂彩牧丹文盌)」·「청자상감진사채모란문매병(靑磁辰砂彩牧丹文梅甁)」·「청자상감진사채포도동자문표형주자(靑磁象嵌辰砂彩葡萄童子文瓢形注子)」 등의 대표적인 것을 남기고 있고, 조선시대에는 18, 19세기경의 「백자진사연화문호(白磁辰砂蓮花文壺)」·「백자진사포도문호(白磁辰砂葡萄文壺)」 등이 있으나 그 수는 드물다. 중국은 송(宋)·원(元)·명(明)대에 자기에 사용하고 있다.

참고문헌

『古陶磁の科學』(內藤匡, 東京 雄山閣, 1981)
『朝鮮陶磁名考』(淺川巧, 東京 朝鮮工藝刊行會, 1935)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윤용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