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봉감별곡 ()

고전산문
작품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이칭
이칭
추풍감별곡
작품/문학
창작 연도
20세기 초반
간행 연도
1913년(박문서관본)
내용 요약

「채봉감별곡」은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딸을 세도가의 첩으로 주고 벼슬을 얻고자 한 아버지 김 진사로 인해, 자신과 혼약한 강필성을 두고 기생이 될 수 밖에 없었던 채봉이 평안감사의 도움으로 평양감영의 이방이 된 필성과 혼례를 치르고 지난날의 인연을 성취한다는 내용을 담은 애정소설이다.

정의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서지사항 및 이본

1책. 국문 주1 · 활자본(活字本).

‘추풍감별곡’이라는 표제도 있는데, 이는 작품 안에 삽입된 시의 제목이기도 하다. 필사본으로는 규장각본이 있고, 활자본으로는 1913년 박문서관본, 1952년 세창서관본이 있다. 남녀주인공이 기구(崎嶇)하게 헤어지고 만나는 과정을 그린 주2로 개화기(開化期) 이후에 창작된 신작 구소설이다.

내용

채봉은 평양성 밖 김 진사의 딸로, 봄날 꽃구경에 나섰다가 전 선천부사의 아들 강필성을 만나 서로 호감을 느끼게 된다. 필성은 채봉이 수줍어하며 도망가다가 떨어뜨린 손수건을 주워 연정(戀情)을 담은 시를 써서 시비(侍婢) 추향에게 전한다. 이를 받아 본 채봉이 필성에게 화답시(和答詩)를 보낸다.

채봉의 어머니인 이 부인이 채봉을 질책(叱責)하자 채봉이 사실을 고한다. 필성이 어머니를 통하여 채봉의 집에 매파(媒婆)를 보내자, 채봉의 아버지 김 진사가 서울에 가고 없는 동안에 이 부인이 혼자 필성과 채봉 간의 약혼을 결정한다.

김 진사는 세도가 허 판서(判書)의 문객(門客) 김양주를 통하여 벼슬할 생각을 한다. 김양주는 김 진사에게 과년(過年)한 딸이 있다는 말을 듣고, 딸을 허 판서의 애첩(愛妾)으로 들여보내고 그 대가로 벼슬자리를 받도록 권한다. 김 진사가 주저하던 끝에 승낙하고 허 판서에게도 약속하고 온다.

돌아온 김 진사가 부인에게 딸을 데리고 상경(上京)하자고 하니 부인은 주15하고, 채봉은 눈물만 흘린다. 부인과 채봉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김 진사는 주16과 기타 주17을 정리하여 상경한다.

김 진사 일행은 도중에 주18을 만나는데, 이때 채봉은 부모에게 알리지 않고 평양으로 되돌아온다. 김 진사는 화적에게 재물을 빼앗기고 허 판서에게 사정을 알리지만 허 판서는 주50하여 김 진사를 옥에 가둔다. 부인은 할 수 없이 채봉을 찾으러 다시 평양으로 온다. 채봉은 평양에서 시비 추향의 집에 묵고 있었는데, 기생 어미가 그녀에게 기생 되기를 권하나 거절한다.

채봉의 어머니는 추향의 집에서 딸을 만나 아버지가 하옥(下獄)된 사실을 이야기하고 상경하자고 조른다. 채봉은 아버지를 구하기 위하여 기생으로 몸을 팔기로 작정하고 기생 어미로부터 돈을 받아 어머니에게 준다.

기명(妓名)을 송이라고 한 채봉은 강필성에게 화답(和答)하여 보낸 한시(漢詩)를 내놓고 그것을 풀이하는 사람에게 몸을 허락하겠다고 하지만 아무도 풀지를 못한다. 필성은 기생 송이가 제시하였다는 한시를 듣고 하도 신기하여 찾아갔다가 채봉을 만나고, 그 뒤 밤마다 찾아가서 사랑을 속삭인다.

한편, 평양감사 이보국이 송이의 서화(書畫)가 뛰어나다는 말을 듣고 몸값을 지불하고 데려와, 곁에 두고 서신(書信)과 문서를 처리하는 일을 맡긴다. 필성은 채봉을 잃고는 채봉을 그리워하며 지내다가 주28주29이 되기를 자원하여 채봉을 만나고자 한다.

채봉은 주30에 거처하면서 필성을 날마다 그리워하고 있다가 어느 달 밝은 밤에 「추풍감별곡」을 지어서 부른다. 이 노래를 들은 감사가 채봉을 불러 천한 이방을 사모(思慕)한다고 질책한다. 이에 채봉은 현재 이방으로 와 있는 필성과의 관계를 고백한다. 감사는 두 사람의 사랑을 가상히 여겨 필성을 불러서 서로 만나게 하고, 감사 자신이 혼례와 관련된 일들을 주관하여 두 사람의 지난날의 인연을 성취해 준다.

의의와 평가

이 소설은 12회 회장체 주34로 중국 소설집 주35 중의 「왕교란백년장한(王嬌鸞百年長恨)」과 유사한 점이 있어 주36이라는 논란이 있다. 서두(書頭)의 남녀 상봉 과정과 화답한 시가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영향을 받은 듯하나, 줄거리와 짜임새는 서로 다르므로 창작소설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관직(官職)을 사고 파는 일이 성행(盛行)하던 조선 말엽(末葉)의 세태(世態)를 반영한 것이 특징이다. 딸을 팔아서까지 벼슬하려고 하는 김 진사, 부모의 명을 거역하고 도망하였다가 기생이 되는 채봉, 애인을 만나기 위하여 천한 이방이 되는 필성 등은 기존 질서에 크게 파격적인 행동을 하는 인물들이다.

신분 질서의 와해(瓦解)뿐만 아니라 무분별한 육욕(肉慾)과 출세욕(出世欲)은 개화기의 고전소설들과도 상통하는 점이다. 현실적 · 합리적(合理的)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사건의 전개와 사실에 가까운 표현법 등은 이 작품이 주45로 옮겨가는 과정에 있는 작품임을 시사한다.

한편, 이 작품은 주46인 「추풍감별곡」을 원천(源泉)으로 하여 1910년대 독서물(讀書物)로 출판되었다. 그러나 완전한 소설로 변화한 것이 아니라, 가사의 전문(全文)이 소설 속에 생략 및 축약 없이 고스란히 활용되어 낭독(朗讀)하기에 적절한 작품이 되었으며 이러한 문화적 코드는 주48인 성석제의 「어머님이 들려주시던 노래」에서 고스란히 활용되면서 계승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상익, 「채봉감별곡과 왕교란백년장한」(『연포이하윤선생 화갑기념논문집』, 발간위원회, 1966)
김기봉, 『한국고전소설연구』(교학사, 1981)

논문

김기동, 「채봉감별곡의 비교문학적고찰」(『논문집』 1, 동국대학교, 1964)
심치열, 「고전소설 「채봉감별곡」의 스토리텔링 방식 -「어머님이 들려주시던 노래」를 중심으로」(『우리文學硏究』 41, 우리문학회, 2014)

인터넷 자료

국립중앙도서관(nl.go.kr)
주석
주1

손으로 써서 만든 책. 우리말샘

주2

남녀 간의 사랑을 주제로 하는 소설. 우리말샘

주3

1876년의 강화도 조약 이후부터, 우리나라가 서양 문물의 영향을 받아 종래의 봉건적인 사회 질서를 타파하고 근대적 사회로 개혁되어 가던 시기. 우리말샘

주4

이성을 그리워하고 사모하는 마음. 우리말샘

주5

곁에서 시중을 드는 계집종. 우리말샘

주6

다른 사람이 지은 시(詩)에 응하여 대답하는 시(詩). 우리말샘

주7

꾸짖어 나무람. 우리말샘

주8

혼인을 중매하는 할멈. 우리말샘

주9

정치상의 권세를 휘두르는 사람. 또는 그런 집안. 우리말샘

주10

조선 시대에 둔, 육조의 으뜸 벼슬. 정이품 벼슬로 태종 5년(1405)에 베풀어서 고종 31년(1894)에 없앴다. 우리말샘

주11

세력 있는 집에 머물면서 밥을 얻어먹고 지내는 사람. 또는 덕을 볼까 하고 수시로 그 집에 드나드는 사람. 우리말샘

주12

나이가 보통 혼인할 시기를 지난 상태에 있음. 우리말샘

주13

사랑하는 첩. 우리말샘

주14

지방에서 서울로 감. 우리말샘

주15

몹시 놀라 얼굴빛이 하얗게 질림. 우리말샘

주16

논과 밭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7

한집안의 재산. 우리말샘

주18

떼를 지어 돌아다니며 재물을 마구 빼앗는 사람들의 무리. 우리말샘

주19

크게 화를 냄. ⇒규범 표기는 ‘대로’이다. 우리말샘

주21

죄인을 옥에 가둠. 우리말샘

주22

기생들을 키우고 관리하는 나이 많은 여자. 우리말샘

주23

본명 외에 기생으로서 가지고 있는 다른 이름. 우리말샘

주24

한문으로 이루어진 정형시. 고대 중국에서 이루어진 양식으로, 평측과 각운에 엄격하며, 한 구(句)는 네 자, 다섯 자, 일곱 자로 이루어진다. 고시, 절구, 율시, 배율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25

시(詩)나 노래에 응하여 대답함. 우리말샘

주26

글씨와 그림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7

안부, 소식, 용무 따위를 적어 보내는 글. 우리말샘

주28

조선 시대에, 관찰사가 직무를 보던 관아. 우리말샘

주29

조선 시대에, 각 지방 관아의 이방(吏房)에 속하여 인사ㆍ비서(祕書) 따위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구실아치. 우리말샘

주30

몸채의 곁이나 뒤에 따로 지은 집이나 방. 우리말샘

주31

애틋하게 생각하고 그리워함. 우리말샘

주32

물건의 위쪽을 이루는 겉면. 우리말샘

주33

서로 만나서 얼굴을 마주 봄. 우리말샘

주34

일관된 긴 이야기를 여러 회로 갈라 서술한 소설. 우리말샘

주35

중국 명나라 말기의 구어체 단편 소설집. 편찬한 사람은 쑤저우(蘇州)의 포옹(抱甕) 노인이라고 전하나 분명하지 않다. 우리말샘

주36

원작의 내용이나 줄거리는 그대로 두고 풍속, 인명, 지명 따위를 시대나 풍토에 맞게 바꾸어 고침. 우리말샘

주37

글을 시작하는 첫머리. 우리말샘

주38

매우 성하게 유행함. 우리말샘

주39

어떠한 시대를 처음ㆍ가운데ㆍ끝의 셋으로 나눌 때 그 마지막 부분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0

사람들의 일상생활, 풍습 따위에서 보이는 세상의 상태나 형편. 우리말샘

주41

기와가 깨진다는 뜻으로, 조직이나 계획 따위가 산산이 무너지고 흩어짐. 또는 조직이나 계획 따위를 산산이 무너뜨리거나 흩어지게 함. 우리말샘

주42

육체에 관하여 느끼는 욕정. 특히 성욕(性慾)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43

출세하려는 욕망. 우리말샘

주44

이론이나 이치에 합당한.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주45

19세기 유럽에서 주로 사실주의나 자연주의에 바탕을 두고 현실과 사회와 인간 문제를 다룬 소설. 우리나라의 경우, 이광수의 <무정>을 효시로 본다. 우리말샘

주46

내용이 길고 복잡한 가사. 우리말샘

주47

읽을 만한 책이나 문서. 우리말샘

주48

갑오개혁 이후에 지어진 소설을 통틀어 이르는 말. 개성적이고 입체적인 인물들이 등장하며, 현실적이고 필연적인 이야기 구성 및 사실적인 묘사를 특징으로 한다. 우리말샘

주49

글을 소리 내어 읽음. 우리말샘

주50

크게 화를 냄. 우리말샘

주51

서로 만나서 얼굴을 마주 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