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풍감별곡 ()

목차
국악
작품
서도소리의 한 종류인 송서(誦書)의 하나.
목차
정의
서도소리의 한 종류인 송서(誦書)의 하나.
내용

송서란 긴 사설로 된 가사 내용을 계면조적인 애조 띤 맛을 주는 간단한 율조(律調)를 넣어서 서도식으로 읽는 것이며 소리조에 가깝다.

1장단 4박씩 송서체로 부르고 장편시 6절로 1곡을 이루고 있으며, 곡조보다는 사설내용에 치중하여 부르는 노래이다. 연원은 김광주(金光洲)가 쓴 소설식으로 된 「채봉감별곡(彩鳳感別曲)」 속에 나오는 것도 있고, 성천(成川)의 노생원(盧生員)의 작이라는 설도 있다.

「추풍감별곡」은 문장이 화려하고 구구절절이 명문미장(名文美章)이므로 노래보다 문장에 도취되어 탄복하는 사람이 많고 실지로 곡을 붙여 부르기란 그리 쉬운 것이 아니다.

이야기 줄거리를 보면 대강 이러하다. 평양사는 김진사는 과거에 등용도 못하고 무남독녀 채봉이와 살았는데, 딸이 과년하던 어느 날 벼슬자리와 사윗감을 구하려고 서울로 떠난다.

김진사가 떠난 얼마 뒤 어느 가을밤에 채봉은 시비(侍婢)와 함께 달맞이 구경을 나갔다가 선천군수의 아들인 강필성(姜弼成)과 마주치게 되자 당황하여 손수건을 떨어뜨린 것이 인연이 되어 사랑을 하게 되고 혼인까지 결심하게 된다.

한편 서울로 떠난 김진사는 벼슬도 얻지 못하고 망하여 볼모로 붙잡히는 몸이 되고 그의 딸 채봉 역시 세도가 재상에게 넘겨진다. 그러나 채봉은 교묘히 피하여 평양에까지 오게 되고, 아버지를 구할 양으로 관기(官妓)의 몸이 된다.

강필성과의 달콤한 꿈은 깨어지고 평안감사의 수청들기에 여념이 없었으나, 항상 강필성에 대한 애절한 심정은 변하지 않아서 그 연모(戀慕)의 정을 「추풍감별곡」으로 지어 노래하였다. 이런 뜻을 알아챈 평안감사는 채봉의 사연을 가상히 여겨 강필성과 원앙의 짝을 지어주었다는 내용이다.

참고문헌

『서도소리대전집』(김정연, 경원각출판사, 1979)
『한국가창대계(韓國歌唱大系)』(이창배, 홍인문화사, 1976)
집필자
성경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