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화비 ()

목차
관련 정보
홍성 대원군 척화비
홍성 대원군 척화비
근대사
유적
조선의 26대 국왕 고종이 병인양요(丙寅洋擾)와 신미양요(辛未洋擾)를 겪으면서 서양 세력과의 화친을 배격하기 위해 전국 각지에 세운 비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의 26대 국왕 고종이 병인양요(丙寅洋擾)와 신미양요(辛未洋擾)를 겪으면서 서양 세력과의 화친을 배격하기 위해 전국 각지에 세운 비석.
내용

1866년(병인년) 프랑스가 조선을 침략한 병인양요가 일어나자 흥선대원군은 “서양 오랑캐가 침입해 오는데 그 고통을 이기지 못해 화친을 주장하는 것은 나라를 팔아 먹는 것이며, 그들과 교역하면 나라가 망한다.”는 내용의 글을 지어 척화(斥和)의 의지를 밝혔다.

그 뒤 1871년(신미년) 4월 3일(음력) 미국이 조선을 침략한 신미양요가 일어났다. 조선군은 초지진 · 덕진진 · 광성보 등에 상륙을 시도하는 미 해군에 대항하여 격렬한 교전을 벌였지만, 마침내 어재연(魚在淵, 1823-1871) 장군 형제를 비롯한 다수의 사망자를 내고 수(帥)자 기를 빼앗기는 등의 참패를 당하였다.

같은 해 4월 25일 우의정 홍순목으로부터 미 해군과의 교전에 대한 보고를 받은 고종은 “이 오랑캐가 화친하고자 하는 것이 무슨 일인지 알 수 없으나, 수천 년 예의를 지켜온 나라가 어찌 개나 양 같은 무리와 서로 화친한단 말인가. 비록 몇 년 동안 서로 대치한다 하더라도 반드시 통렬히 끊어버리고야 말 것이니, 만약 ‘화친’이라는 글자로 말하는 자가 있거든 매국(賣國)의 법을 시행하도록 하라.”고 하교하였다. 이에 따라 서울의 종로 네거리와 각 도회지에 척화비가 세워졌다.

그 비석에는 큰 글자로 “서양 오랑캐가 침입하는데 싸우지 않으면 화친하는 것이요, 화친을 주장하는 것은 나라를 팔아먹는 것이다.”(洋夷侵犯 非戰則和 主和賣國)라는 12자가 새겨져 있고, 그 옆에 작은 글자로 “나의 만년 자손에게 경고하노라! 병인년에 짓고 신미년에 세운다.”(戒我萬年 子孫 丙寅作 辛未立)라는 글귀가 함께 새겨져 있다.

1882년 8월 5일 고종은 “이미 서양과 수호를 맺은 이상 서울과 지방에 세워놓은 척양(斥洋)에 관한 비는 시대가 달라졌으니 모두 뽑아버리도록 하라.”는 전교를 내려 전국의 척화비를 모두 철거하도록 하였다. 그 가운데 서울에 세워졌던 척화비는 종로 보신각 부근에 묻혔다가 1915년 6월 보신각을 옮길 때 발굴되어 경복궁에 보관되었다.

비석의 높이는 서로 차이가 있어 부산의 것은 1.8m인 데 비해 함양군 함양읍의 것은 1.2m이다. 그러나 너비는 대체로 40∼45㎝이고, 두께는 대체로 25㎝ 정도이다.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가첨석(加簷石)을 갖추지 않은 통비(通碑) 형태의 작은 비석이다.

부산진에 건립된 것은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에 있는 용두산공원 내에 옮겨 세워져 있다. 함양군 함양읍과 안의면 옛 면사무소 안에도 각각 1구씩 보존되어 있다.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일성록(日省錄)』
『서울육백년사(六百年史)』문화사적편(文化史蹟篇)-(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87)
『근대한미교섭사』(김원모, 홍성사, 1979)
『문화재총람』 중(문화재관리국, 1977)
『전국유적목록』(문화재관리국, 1971)
『한국사』최근세편(最近世篇)-(진단학회, 을유문화사, 1961)
『京城府史』(京城府, 193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