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감록 ()

철감록
철감록
유교
문헌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까지 생존한 문신 · 학자, 이행 등 여흥이씨 문중의 유고와 실기를 모아 1872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까지 생존한 문신 · 학자, 이행 등 여흥이씨 문중의 유고와 실기를 모아 1872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72년(고종 9) 이행의 후손 이지운(李之運)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안정복(安鼎福)·이만각(李晩慤)·이지운 등의 서문, 권말에 남경희(南景羲)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5권 2책. 목판본.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내용

권1은 이행의 『기우유고(騎牛遺稿)』로 시 21수, 소(疏) 2편, 부록으로 제현창수시(諸賢唱酬詩) 32수, 기우설(騎牛說)·백암거사찬(白巖居士贊)·유사·부조현언지록(不朝峴言志錄)·영묘조부조현연구(英廟朝不朝峴聯句)·구충정록(九忠貞錄)·해동지(海東誌) 각 1편이 수록되어 있고, 끝에 이휘재(李彙載)의 발문이 있다.

소의 「간첨설관직소(諫添設官職疏)」는 『여사(麗史)』에서 전재한 것이다. 권신들이 관직을 첨설하는 예가 많음을 지적하고, 조종(祖宗)의 법도를 따라 일대의 정치를 쇄신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전제의(田制議)」는 당시 호족들이 토지를 겸병해 사전(私田)을 만들기 때문에 그 폐해가 극심함을 말하고 시정할 것을 요구하였다. 그밖에 덕과 문을 선후로 아울러 행해야 교화가 바로 선다는 내용의 「문행선후설(文行先後說)」이 있다.

권2는 이행의 아들 이적(李逖)의 『제학유고(提學遺稿)』에 저자의 행적과 시 1수, 이행의 동생 이적(李迹)의 『관찰유고(觀察遺稿)』에 행적과 시 1수, 이적(李逖)의 손자 이증석(李曾碩)의 『중화공유고(中和公遺稿)』에 묘갈명 1편, 이증석의 손자 이원(李遠)의 『진사유적(進士遺蹟)』에 묘갈명 1편과 구갈(舊碣) 1편 등이 실려 있다.

권3은 이원의 동생 이태(李迨)의 『월연유고(月淵遺稿)』에 시 10수, 명(銘) 1편, 부록으로 증유시(贈遺詩) 1수, 묘갈·기문록(記聞錄)·쌍경당기(雙鏡堂記) 각 1편, 이원의 아들 이광로(李光輅)의 『생원유고(生員遺稿)』에 묘갈명 1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4는 이광로의 동생 이광진(李光軫)의 『금시당유고(今是堂遺稿)』로 시 4수, 잡저 2편, 부록으로 가장 1편, 행장 2편, 묘갈명·갈음후지(碣陰後誌)·묘지명·금시당중건기사(今是堂重建記事)·기사후지(記事後識)·금시당기·중수원운(重修原韻)·중수기·상량문 각 1편이 실려 있다.

권5는 이광진의 아들 이경홍(李慶弘)의 『근재실기(謹齋實紀)』로 유사 1편, 만사 2수, 제문 1편, 행장 1편, 묘갈명 2편, 묘지명 1편, 봉안문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5)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