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쪽은 선천군, 서쪽은 용천군, 북쪽은 의주군, 남쪽은 황해에 면하고 있다. 동경 124°24′∼124°46′, 북위 39°22′∼39°58′에 위치하며, 면적 455.5㎢, 인구 7만 9745명(1943년 당시)이다. 6면 104동리로 되어 있으며, 군청 소재지는 철산면 중부동이다.
강남산맥의 말단부가 뻗어내려 대부분의 지역은 구릉성 산지를 이룬다. 해안지대에서는 더욱 낮아져서 침강하여 반도와 많은 도서를 형성한다. 동쪽은 입봉(笠峰, 512m)·운암산(雲暗山, 366m), 서쪽은 어랑산(於郎山, 254m)·연대산(煙臺山, 203m), 남쪽은 고가산(高架山, 338m)·배산[舟山, 379m], 북쪽은 천두산(天頭山, 667m)·망일산(望日山, 614m) 등의 산지가 솟아 있다.
창포천(蒼浦川)이 철산면의 중앙을 동류하다가 북동류하는 천황천(天皇川)과 합류하여 굴강(屈江)으로 유입된다. 청송령에서 발원하는 판교천(板橋川)이 남류하다가 참면 월안동에서 발원한 교강천(橋江川)과 합류하여 전장천으로 유입된다. 하천 연안에는 비옥한 상평평야(常平平野)와 철산평야(鐵山平野) 등이 발달되어 벼농사의 중심지를 이룬다.
해안지대는 복잡한 리아스식해안을 형성하고 있다. 간석지가 넓게 분포하고 간만의 차가 심하여 양항의 발달은 어렵다. 도서로는 가장 큰 섬인 가도(椵島)를 비롯하여 탄도(炭島)·대화도(大和島) 등 30여 개가 산재한다. 특히 가도와 탄도 사이는 수심이 깊고 바람을 막아주어 좋은 항구의 역할을 하고 있다.
지질은 화강암과 편마암이 분포한다. 기후는 대륙성기후로 한서의 차가 심하다. 해안지대에 위치하여 내륙지방보다는 따뜻한 편이지만, 같은 위도의 동해안과 비교하면 겨울철 한랭한 북서계절풍의 영향으로 매우 춥다. 연평균기온 9.2℃, 1월평균기온 -9.3℃, 8월평균기온 24.8℃, 연강수량 944㎜이다. 첫 얼음은 10월 하순경에, 마지막 얼음은 4월 초순경까지 언다.
[고 대]
이 군에서 신석기시대의 유물·유적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청동기시대와 철기시대에 들어와 종족 이동이 잦아지게 되면서 이곳은 압록강을 건너 남하하는 이동로의 길목에 해당되어 일찍부터 사람이 정착하였을 것이다.
연나라의 화폐인 명도전(明刀錢)이 위원·강계·창성 등지에서 많이 발견되었으므로, 이곳에도 중국인이 들어와 무역을 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낙랑군(樂浪郡)의 영향이 미쳤으리라 생각되며, 고구려가 이 일대를 판도에 편입하면서 이곳에도 고구려의 군현이 설치되었을 것으로 보이나 기록에 전하는 것이 없다.
[고 려]
이곳이 고려에 편입된 것은 993년(성종 12) 제1차여단전쟁 때 서희(徐熙)의 활약으로 강동6주(江東六州), 즉 흥화진(興化鎭)·용주(龍州)·구주(龜州)·철주(鐵州)·통주(通州)·곽주(郭州)를 수복한 뒤부터이다. 철주는 본래 장녕현(長寧縣, 또는 銅山)이었는데 1018년(현종 9) 철주방어사를 두었다. 고려는 강동6주를 수복한 뒤 6주에 각각 성채를 쌓아 서북면 방어의 최전선으로 삼았다.
1010년 제2차여단전쟁 때 고려는 강조(康兆)를 행영도통사(行營都統使)로 삼아 30만 대군을 통주에 파견하여 거란을 방어하였으나 대패하였다. 이때 철주 등 강동6주의 동정은 기록에 보이지 않으나 통주성의 함락과 함께 모두 적에게 유린당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거란군은 왕의 친조(親朝)와 강동6주의 반환 약속을 받고 철군하였다. 1231년(고종 18) 몽고의 침입 때 철주가 함락되어 이곳 주민들이 선주의 주민들처럼 섬에 들어갔을 것으로 여겨지나 기록이 없다.
1359년(공민왕 8) 12월 홍건적의 침입 때 위평장(僞平章) 등이 압록강을 건너와 정주(靜州)·인주(麟州)를 함락시키고 철주에 침입하자 부원수 안우(安祐), 부장 이방실(李芳實), 병마판관 정찬(丁贊) 등이 청강(淸江)에 배수진을 치고 분전하여 승리를 거두었다.
[조 선]
1392년(태조 1) 지주사로서 영삭만호(寧朔萬戶)를 겸하게 하였고, 1413년(태종 13)철산으로 고쳤으며, 1415년 만호를 혁파하여 영삭을 군의 직촌(直村)으로 하였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의하면 세종 때 철산군의 호구는 234호 659명이었는데, 의주도중익병마(義州道中翼兵馬)를 겸하여 군정은 익군 96인, 수성군 30인, 선군 50인이었다. 1622년(광해군 14) 도호부로 승격되었다가 1624년(인조 2) 현으로 강등되었으며, 1633년 다시 부로 승격되었다.
1751년(영조 27) 부치를 차련참(車輦站)으로 옮겼다가 1769년 옛땅으로 환원하였다. 1621년 후금이 요양을 공략하자 모문룡(毛文龍)이 쫓겨와 가도에 진을 치고 동강진(東江鎭)이라 하고, 선천의 신미도(身彌島)에 분소를 두어 약탈을 자행하는 일이 종종 일어나 큰 두통거리가 되었다.
명나라에서도 처음에는 총병좌도독(總兵左都督)의 직을 주어 청나라를 정벌하게 하였으나 실패하고 역효과를 빚게 되었으므로, 요동경략(遼東經略) 원숭환(袁崇煥)이 1629년 여순의 쌍도(雙島)로 모문룡을 유인하여 죽임으로써 조선·명·후금 사이에 미묘한 움직임을 보이던 가도사건은 일단락되었다.
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나 후금은 삽시간에 의주·철산을 공략하고 개전 1주일 만에 청북지방을 석권하였다. 강화가 성립되어 철군한 뒤에도 후금의 군대는 가도의 모문룡을 공벌한다고 한동안 청북지방에 머물며, 진달(眞撻 : 금병)·가달(假撻 : 부역자)의 이름 아래 약탈과 살상을 자행하였다.
이때 의병장 김여기(金礪器)는 운암산석굴에서 군민 약 300명을 이끌고 항전하였고, 정봉수(鄭鳳壽)·정기수(鄭麒壽) 형제는 용천군의 용골산성(龍骨山城)에서 철산·용천·의주의 군민을 모아 큰 전과를 거두었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김여기는 정묘호란 때처럼 운암산성에 들어가 3,000여 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끝까지 수성의 공을 세웠다.
『여지도서』에 의하면 1759년(영조 35) 5면 101리에 호구는 6,750호 2만 5159명이었다. 1811년(순조 11) 관서지방에서는 홍경래의 난이 일어나 16일 만에 청북8읍이 반군에게 점령당하거나 항복하는 가운데 이곳에서는 수교(守校) 정복일(鄭復一)이 적극적으로 이에 가담하여 부사 이장겸(李章鎌)이 항복하였다. 다음해 4월 반란이 평정되었을 때 이 군은 수령이 항복하였다 하여 현으로 강등되었다.
[근 대]
1895년의주부 철산군으로, 1896년에는 평안북도 철산군으로 개편되었다. 1924년 8면 103동리로 정비되었으며, 1934년에는 6면 104동리로 개편되었다. 근대의 인물로 105인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른 오희원(吳熙源) 등 10여 명이 있다. 3·1운동 때 3월 5일부터 차련관(車輦館)을 선두로 읍내와 여러 곳에서 시위가 일어났는데, 3월 7일 읍내시위에서 정석당(鄭錫唐) 등 7명이 피살되었다.
1920년과 1921년 사이에 선천·철산·용천·의주를 무대로 활약한 보합단(寶合團) 단원 중에는 이곳 군민이 많이 가담하였는데, 일본 경찰과 충돌하여 박완식(朴完植) 등 여러 사람이 전사하였다. 그 밖에 철산숭의단사건(鐵山崇義團事件)으로 전사한 정원범(鄭元範), 1920년 평안남도 도청과 평양경찰서 투탄사건으로 순국한 대한의용단의 장덕진(張德鎭) 등이 있다.
서림면 서림동의 서림성(西林城, 또는 鐵州城)은 고려 현종 때 거란의 침공을 막기 위하여 반토성으로 쌓았는데, 1747년(영조 23) 석성으로 개축하였다.
철산면과 여한면에 걸쳐 있는 운암산성(雲暗山城, 또는 熊骨山城)은 1631년(인조 9) 부사 이경정(李慶禎)이 축성하고, 1684년(숙종 10) 부사 최호진(崔好鎭)이 증축하였다. 성 안에 장청(將廳)·산창(山倉)·군기고가 있는데 병자호란 때 노획한 북·창검·장기(將旗) 등이 수장되어 있으며, 전승기념비가 있다. 성 밖에 큰 전승굴(戰勝窟)이 있는데 정묘호란 때 김은상(金殷祥)이 청군을 물리치고 축첩연(祝捷宴)을 베풀었던 곳이다.
철산면 도태동 가산에 있는 철산성(鐵山城)은 1400년(태종 즉위년) 군성으로 쌓았으나 주민들이 그 높음을 꺼리므로 읍치를 지금의 철산읍으로 옮겼다. 이 성은 흡사 삿갓을 엎어 놓은 형상으로 매끈하고 아름다워 여산성(女山城)이라고도 한다. 철산면 부영동의 평지에 있는 고성(古城, 또는 古寧朔城)은 주위 400m 정도의 토성인데 만호영이 있었다.
부서면 인흥동의 쌍충사(雙忠祠)는 서림성에서 몽고군을 막다가 자결한 방어사 이원정(李元禎)과 판관 이희적(李希勣)을 향사하는 사당이다. 1695년(숙종 21) 철산면 동부동에 세운 충무사(忠武祠)는 운암산전(雲暗山戰)의 의병장 김여기와 용골산전(龍骨山戰)의 의병장 정봉수·정기수 형제를 합사한 사당인데, 뒷날 부서면 인평동에 정봉수·정기수 형제를, 철산면 동천동에 김여기를 각각 분리 향사하였다.
심하지역(深河之役)에 출전하였던 정기남(鄭奇男)·정순남(鄭順男)·정사검(鄭思儉),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때 공을 세웠던 정시창(鄭始昌)·김여기·황의남(黃義男) 등과 효자 정창숙(鄭昌淑)·최익화(崔益華), 열녀 임씨·차씨·연안 김씨 등의 정려가 있다. 서림면 회당동에 있는 주필암(駐蹕巖)은 임진왜란 때 선조가 의주로 몽진하다가 쉬었던 곳이고, 동헌 앞뜰에 있던 태평루(太平樓)는 회진되어 그 화강암 기둥이 천도교 종리원에 옮겨져 보존되고 있다.
가도의 동강진지(東江鎭址)는 명장 모문룡이 국권을 되찾기 위하여 16년간 청나라에 대항하며 8영을 설치하였던 곳이다. 철산면 부영동의 구황비(救荒碑)는 1848년(헌종 14) 관서지방에 큰 기근이 들었을 때 평안도 평사감 조포저(趙浦渚)가 구호활동으로 많은 인명을 구하였으므로 군민들이 이를 기념하여 세운 비이다. 천태만상으로 비틀리면서 사방으로 퍼져나간 반송(盤松)은 많은 시인들이 즐겨 읊은 대상이었는데 차련관 역관자리에 있었다.
옛 교육기관으로는 철산면 동부동에 있는 성황사(城隍祠)내에 향교가 설립되었으며, 문묘는 차련관에 분리되어 있었다. 1911년에 향교는 폐지되고 차련관에 문묘만 남아 이때부터 군수가 제주가 되어 매년 한 번씩 향사하였다.
조선 중기 이후 향교의 교육기능이 약화되고 서원이 설립되었는데, 여한면 추암동에 정모암(鄭慕菴)을 배향한 충현사(忠賢祠)가 설립되었으며, 1572년(선조 5) 이원정·이희적을 배향한 쌍충사, 1695년(숙종 21) 정봉수·김여기를 배향한 충무사가 설립되어 많은 유생들의 교육을 담당하였다. 지방 여러 곳에서는 서당이 설치되어 한문을 전수하였으며, 특히 여한면의 문봉재(文峰齋)는 많은 항일투사를 배출하였다.
근대교육기관으로는 1904년 사립한흥학교가 처음 설립되었으며, 뒤에 차련관보통학교로 되었다. 1905년 신명학교가 설립되었으며, 뒤에 철산보통학교로 되었다. 1907년 명흥학교, 1923년 부서공립보통학교 등이 계속 설립되었다. 1945년 당시의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6개 교가 있다. 종교상황은 1945년 당시의 불교사찰 1개, 천주교성당 1개, 개신교교회 2개가 있다. 이 고장에는 청년지식층으로 구성된 문화회와 체육회·유학생회 등이 있어 각종 문화활동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 고장의 설화로는 「범과 토끼의 이야기」가 전한다. 옛날 소금장수가 소에다 소금을 싣고 산골로 소금을 팔러 나갔다. 날이 저물어 어떤 집에 들어가서 주인을 불러 하루를 묵자고 하였다. 허락을 받고 소금장수는 그 집에 들어가서 소금짐을 밖에 놓고, 소는 외양간에 매어 두고는 소의 목에 달았던 방울을 떼어가지고 방으로 가지고 왔다.
주인은 그 방울을 보더니 그것은 무엇을 하는 것이냐고 물었다. “이건 범을 잡는 방울인데, 범이 나왔을 때 이것을 놓아두면 범의 불알에 달라붙어 죽이는 방울입니다. 이곳에는 범이 없겠지요.” 하고 말하였다. 이 집은 백호가 사람으로 둔갑해서 살고 있는 집이었는데, 이 백호는 길가는 사람이 하루를 묵고 가면 저녁에 잡아먹고 하는 것이었다. 소금장수는 이 집이 백호가 사는 집이라는 것을 알고 말하였다.
밤이 되어서 자게 되었는데, 자다가 가만히 눈을 떠보니 주인은 백호가 되어서 자고 있었다. 소금장수는 방울을 백호불알에 매어놓고는 밖으로 나가 버렸다. 다음날 아침 일어나니까 불알에 방울이 달려서 딸랑딸랑 소리가 났다. 백호는 놀라서 뛰었다. 그런데 백호가 뛰면 뛸수록 불알에서는 방울소리가 더욱 요란하게 났다. 백호는 자꾸자꾸 뛰어서 산으로 올라갔는데, 방울이 가시덤불에 걸려 떨어졌다.
백호는 방울이 다시 달라붙지 못하게 하느라고 뛰어가기만 하였다. 뛰어가다가 토끼를 만나 그 사실을 이야기하였다. 토끼는 백호의 말을 듣고 나서 “백호를 잡아먹는 방울이란 과연 어떤 것일까 우리 함께 가서 찾아봅시다.” 하니 백호는 싫다고 하는데, 토끼는 자기 꼬리와 백호의 꼬리를 한데 잡아매고 갔다.
가시덤불에 걸려 있는 방울을 토끼가 보고서 이것을 발로 밟으라 하니, 방울이 딸랑거리면서 백호 앞으로 굴러갔다. 백호는 그만 방울이 다시 달라붙을까봐 겁이나 뛰어갔다. 토끼는 따라갈 수가 없어 질질 끌려가다가 덤불에 걸렸다. 백호는 그냥 뛰어가는데 토끼는 따라가지 못하여 그만 꼬리가 빠지고 말았다. 그래서 토끼의 꼬리는 짧다고 한다. 이 밖에 「동두산에 얽힌 전설」·「철산사또 홍곽쟁이」 등의 이야기가 전한다.
민요로는 「미나리요」·「다리빼기요」 등이 있다. 「미나리요」의 내용은 “메나린가 개나린가/장미꽃에 벌나린가/이산저산 넘어가서/풀메나리 뜯어다가/살랑살랑 끓는물에/아주삼삼 데우테서/단장쓴장 치나새나/은제놋제 거나새나/나훌나훌 먹어보자.”이다.
「다리빼기요」는 “한알똥(하나)‘두알똥(둘)/삼재(셋)/영재(넷)/닝금(다섯)/다래(여섯)/호박(일곱)/깨끼(여덟)/두루미(아홉)/째꿍(열).”으로, 명절날 밤 방안에서 아이들이 마주앉아 다리를 서로 어긋나게 쭉 뻗고 “한알똥 두알똥” 하면서 세어 나가다가 째궁에 들어맞는 다리를 하나씩 빼놓고 마지막 남는 다리가 지는 놀이를 할 때 부른다. 이 놀이는 전국적으로 퍼져 있으나 수를 세는 말은 지명마다 다르다. 열로 끝나는 것이 보통이나 그 이상의 것도 있다.
대부분 구릉지대로 평지가 협소하며, 강수량도 적어 논농사보다는 밭농사가 우세하다. 그러나 쌀의 생산량은 총 곡물류생산량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창포천·교강천·전장천·천황천 등의 하천 연안에 발달한 철산평야·상평평야를 비롯하여 부서면의 간척지농장과 소규모의 월암·인송 평야 등이 발달하고 있다.
관개용수는 거의 천수에 의존하고 있으며, 가뭄이 심하여 여러 방법으로 한해(旱害)를 극복하고 있다. 주요 농산물은 쌀·보리·옥수수·콩·조 등이며, 특산물은 면화·대마 등이다. 농가 부업으로는 소·돼지·닭의 사육과 양봉 등이 활발하다.
연근해는 플랑크톤의 좋은 번식장으로 많은 어족의 회유와 산란에 적합하여 각종 어패류가 서식하고 있다. 조기·새우·광어·농어·갈치·조개 등이 어획되어 수산업은 활기를 띠고 있다. 특히 우리 나라 3대 조기어장의 하나인 어영도(魚泳島)에는 5∼6월경 성어기에 파시(波市)가 형성된다. 광업은 부서면 등곶동·석산동 일대의 금은광, 백량면 자작동·보산동 일대의 모나즈광 등이 있으며, 매장량이 풍부하여 채굴이 활발하다.
한편 시장은 정기시장으로 2개 소가 열리고 있다. 철산면 철산장이 1·6일, 참면 차련관장이 4·9일에 열린다. 거래하는 물품에 따라 쌀시장·포시장(布市場)·가축시장 등으로 불린다. 그 밖에 장시의 주요 거래품목으로는 농산물·가마니·새끼·일용생활필수품 등이 있다.
교통은 경의선이 군의 북부를 동서로 횡단하며, 의주가도(義州街道)가 거의 병행하면서 남북으로 통과한다. 차련관역이 설치되어 있으며, 철산·용천군 남시 등을 잇는 도로가 연결되어 교통의 요지를 이룬다. 그 밖에 철산을 중심으로 지방도가 뻗어 있어 편리한 편이다.
해상교통은 활발하지만 해안의 수심이 얕고 간만의 차가 심하여 겨울에는 동결하여 교통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대화도 일대는 부동항을 이룬다. 주요 항구로는 등관포·이화포·망동포 등이 있어 정기 또는 부정기 여객선이 운항된다. 주요 관광지로는 여한면 동덕동의 석봉약수, 서림면 원옥동의 원옥폭포, 부서면 장도의 장도해수욕장 등이 유명하며, 매년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백량면 柏梁面]
군의 남부에 위치한 면. 인구 1만 8026명(1944년 당시). 면소재지는 근천동이다. 본래 장녕현(長寧縣)지역으로서 1934년 운산면의 13개 동이 이 면에 편입되었다. 동쪽은 백량산(栢梁山, 210m), 남쪽은 청봉(靑峰, 306m), 북쪽은 운암산, 중앙에는 고가산 등의 산지가 솟아 있다.
근천동과 서문시 부근에서 발원한 천황천이 면의 북부를 북동류하다가 창포천과 합류하여 굴강으로 유입되며, 고가산에서 발원한 동창천(東倉川)이 면의 동부를 북동류하다가 망곶(網串)으로 유입된다. 하천 연안에는 철산·쌍암·동문평야 등의 비옥한 평야가 발달하여 주요 곡창지대를 이룬다. 해안지대는 리아스식해안을 이루며, 가도·대화도·탄도·우리도 등 20여 개의 섬이 있다. 주요 농산물은 쌀·수수·조 등이다. 삼금동·가도동 일대는 밤나무산지로 알려져 있다.
연근해에서는 조기·민어가 다량으로 어획되며, 용어·숭어·복어·낚지·조개류 등도 풍부하다. 주요 어장은 망동포(望東浦)·선사포(宣沙浦) 등이다. 광업은 보산동·자작동·동창동을 중심으로 모나즈광이 분포하여 활발하다. 교통은 철산·부서 등을 잇는 도로가 연결되어 있어 편리한 편이며, 해상교통이 발달하여 망동포∼선천군 수청 간의 정기여객선을 비롯하여 선사포에서 각 도서지역에 부정기적으로 선박이 운항한다.
주요 관광지로는 가장 크고, 해상경관이 아름다운 가도가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 교가 있다. 근천(根川)·풍천(豊川)·도암(道巖)·명암(明巖)·삼금(三錦)·수부(壽富)·용암(龍巖)·검암(儉巖)·쌍암(雙巖)·동문(東門)·신암(新巖)·내암(內巖)·선암(仙巖)·산대(山垈)·동창(東倉)·장야(長野)·장평(長平)·영(嶺)·자작(自柞)·보산(保山)·기봉(起鳳)·가도(椵島)·대화(大和) 등 23개 동리가 있다.
[부서면 扶西面]
군의 서남부에 위치한 면. 인구 1만 5988명(1944년 당시). 면소재지는 고암동이다. 본래 장녕현지역으로서 1934년 정혜면(丁惠面)의 12개 동이 이 면에 편입되었다. 동쪽은 저골산(猪骨山, 182m), 서쪽은 연대산(煙臺山, 203m), 남쪽은 어랑산·오봉산(五峰山, 263m), 북쪽은 성주봉(聖主峰, 152m) 등의 산지가 솟아 있으며, 대부분의 지역은 300m 내외의 구릉성 산지를 이룬다.
고암동에서 발원한 창포천이 면의 동부를 북동류하다가 철산면으로 유입된다. 하천 연안에는 상평·인송 평야 등과 인평동의 간척평야 등 비옥한 평야가 발달하여 주요 곡창지대를 이룬다. 해안지대는 리아스식해안을 이루며, 간석지가 넓게 발달하여 양항은 없다. 어영도·정도·대계도·월도 등 10여 개의 섬이 있다. 주요 농산물은 쌀·수수·조 등이다.
연근해에서는 먹이가 많고 어족의 회유와 산란에 적합하여 조기·민어·광어·조개류 등이 서식하고 어족이 풍부하다. 주요 어장은 등곶포·이화포 등이다. 특히, 어영도와 등곶포는 5∼6월 조기파시가 형성되며, 안신농장 연안에서는 천일제염업이 이루어진다. 광업은 석산동·선리동·등곶동을 중심으로 금은광이 분포하고 있다.
교통은 철산·여한 등을 잇는 도로가 연결되어 있어 편리한 편이며, 해상교통이 발달하여 이화포∼원도 간의 정기여객선과 등곶포에서 대계도 및 각 도서지역에 정기·부정기 여객선이 운항한다. 주요 관광지로는 장도해수욕장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 교가 있다.
고암(高巖)·인흥(仁興)·선리(善里)·이복(梨福)·신곶(薪串)·성암(星巖)·학산(鶴山)·인평(仁平)·석산(石山)·장좌(長佐)·부평(富平)·등곶(登串)·장송(長松)·월암(月巖)·어산(於山)·강하(江河)·인송(仁松)·수유(水踰)·학암(鶴巖)·탑현(塔峴)·육성(六星)·오봉(梧峰) 등 22개 동리가 있다.
[서림면 西林面]
군의 서부에 위치한 면. 인구 1만 913명((1944년 당시). 면소재지는 회당동이다. 본래 장녕현지역으로서 1895년 철산군 서림면으로 되었다. 동쪽은 망일산, 북쪽은 천두산·백운산(白雲山, 300m), 중앙에는 연대산 등의 산지가 솟아 있으며, 대부분의 지역은 300m 내외의 구릉성 산지를 이룬다.
청송령에서 발원한 판교천이 면의 동부를 남류하다가 교강천과 합류하여 전장천으로 유입된다. 하천 연안에는 상평평야 등 비옥한 평야가 발달하여 주요 곡창지대를 이룬다. 관개용수원으로 서림동·화탄동 저수지가 이용되고 있다. 주요 농산물은 쌀·보리·옥수수·콩·조 등이다. 농가부업으로 양잠·양봉 등이 행하여지고, 개량과수기술의 도입으로 서림성내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기업적 대단위 과수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교통은 참면·선천군·용천군 등을 잇는 국도가 면의 중앙을 남북방향으로 통과하며, 경의선이 면의 남부를 동서방향으로 통과한다. 그 밖에 지방도가 연결되어 있어 편리한 편이다. 주요 관광지로는 원옥동에 원옥폭포가 있으며, 유물유적으로는 서림동에 서림산성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 교가 있다. 회당(檜塘)·강암(江巖)·천석(川石)·인송(仁松)·내산(內山)·연산(蓮山)·원옥(元玉)·일신(日新)·인수(仁水)·서림(西林)·작현(柞峴)·향봉(香峰)·사송(四松)·화탄(化炭)·광봉(光峰)·다정(多井) 등 16개 동리가 있다.
[여한면 餘閑面]
군의 중부에 위치한 면. 인구 8,613명(1944년 당시). 면소재지는 가산동이다. 본래 장녕현지역으로서 1895년 철산군 여한면으로 되었다. 동쪽은 운암산, 남쪽은 주라봉(舟羅峰, 243m) 등의 산지가 솟아 있으며, 대부분의 지역은 구릉성 산지를 이룬다.
원세평동에서 발원한 창포천이 면의 남부를 남류하다가 부서면 고암동에서 합류하여 철산면으로 유입된다. 또한 선천군에서 발원한 맹천이 면의 북부를 서류하다가 전장천으로 유입된다. 하천 연안에는 상평평야 등 비옥한 평야가 발달하여 주요 곡창지대를 이룬다. 한해가 심하여 관개용수원으로 선천군청강(淸江)의 물이 이용되고 있다. 주요 농산물은 쌀·콩·조 등이다. 특산물은 전장천의 담수 참게이며, 원세평동에는 밤나무·잣나무 집단재배지가, 가산동·추남동에는 노송이 밀집 분포하고 있다.
교통은 철산·부서·참 등을 잇는 도로가 연결되어 있어 편리한 편이다. 주요 관광지로는 동덕동에 석봉약수터가 있으며, 유물유적으로는 추암동에 충현사가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 교가 있다. 가산(佳山)·원세평(元世平)·동덕(東德)·조양(朝陽)·연수(蓮水)·가봉(加峰)·쌍신(雙新)·추남(秋南)·서봉(西峰)·추암(秋巖)·상석(常石)·덕화(德化)·문봉(文峰)·도덕(道德)·임천(林川)·덕산(德山) 등 16개 동리가 있다.
[참면 站面]
군의 동부에 위치한 면. 인구 1만 5002명(1944년 당시). 면소재지는 동부동이다. 본래 장녕현지역으로서 1934년 오봉동이 신설되었다. 동쪽은 입봉, 남쪽은 천제봉(天祭峰, 195m), 북쪽은 망일산·동고산(東顧山, 404m) 등의 산지가 솟아 있으며, 대부분의 지역은 구릉성 산지를 이룬다.
월안동에서 발원한 교강천이 면의 서부를 남서류하다가 서림면 인송동에서 판교천과 합류하여 전장천으로 유입된다. 맹천이 면의 남부를 서류하다가 전장천으로 유입된다. 하천 연안에는 상평평야 등 비옥한 평야가 발달하여 주요 곡창지대를 이룬다. 주요 농산물은 쌀·콩·조 등이다. 수양버들과 향부제로 쓰이는 분디나무가 잘 알려져 있으며, 장덕동에 요업공장, 유정동에 유기제조공장 등이 있다. 광업은 신곡동을 중심으로 모나즈광이 분포하고 있다.
교통은 서림·선천군 등을 잇는 국도와 경의선이 면의 남부를 동서 방향으로 통과하여 편리한 편이다. 유물유적으로는 차련관역(車輦館驛)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 교가 있다. 동부(東部)·서부(西部)·유정(柳亭)·월안(月安)·이응(二鷹)·잠봉(蠶峰)·용당(龍堂)·풍천(豐川)·동천(東川)·장덕(長德)·용산(龍山)·신곡(新谷)·봉현(鳳峴)·오봉(五峰) 등 14개 동리가 있다.
[철산면 鐵山面]
군의 중남부에 위치한 면. 인구 1만 2572명(1944년 당시). 면소재지는 중부동이다. 본래 장녕현지역으로서 1895년 철산군 철산면으로 되었다. 북쪽은 운암산 등의 산지가 솟아 있으며, 대부분의 지역은 100m 내외의 구릉성 산지를 이룬다.
여한면과 부서면에서 발원한 창포천이 면의 중앙을 지나 동류하다가 백량면 수부동에서 굴강으로 유입된다. 하천 연안에 철산평야 등 비옥한 평야가 발달되어 주요 곡창지대를 이룬다. 주요농산물은 쌀·옥수수·조 등이다. 도대동에는 노송이 밀집 분포하고 있다. 광업은 동천동·용모동을 중심으로 모나즈광이 분포한다.
교통은 여한·부서·백량·선천군 등을 잇는 도로가 연결되어 있어 편리하다. 유물유적으로는 철산면과 여한면의 경계에 있는 운암산성, 부영동의 고령삭성 등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 교가 있다. 중부(中部)·동부(東部)·서부(西部)·부영(富永)·동수(東壽)·동천(東川)·용모(龍帽)·송교(松橋)·신학(新鶴)·월봉(月峰)·동평(東平)·영산(令山)·도대(道臺) 등 13개 동리가 있다.
평안북도 서해안의 중부에 있는 군. 동쪽은 동림군·선천군, 서쪽과 남쪽은 황해, 북쪽은 동림군·염주군에 접하여 있다. 이 군은 육지와 81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있고, 면적은 332㎢, 인구 6만 8583명(1996년 추정)이다.
1952년 12월 행정구역 개편시 이 군의 서림면·참면 지역이 신설된 동림군과 염주군으로 분리되었으며, 1954년 10월 철산면지역에 있었던 부영리가 동천노동자구로, 백량면지역의 동창리가 동창노동자구로, 여한면지역의 추암리가 가봉노동자구로 각각 개칭되었다. 1963년 12월 동창노동자구가 다시 동창리로, 동천노동자구는 동천리로 개칭되고, 창성군 간암리가 중리에 편입되면서 중리는 약수리로 개칭되었다.
행정구역은 철산읍을 비롯하여 동천·동평·월봉·영삭(令朔)·명암·수부·검암·동창·선암·기봉·보산·근천·풍천·오봉·금산(錦山)·선주(宣州)·학산(鶴山)·이화(梨花)·성암·문봉·가산·원세평·연수·가도·대화 등 25개 이, 가봉·장송 등 2개 노동자구로 되어 있다. 군 소재지는 철산읍이다.
이 군은 전반적 지역이 300m 안팎의 산지들과 분지, 평야로 되어 있다. 산지는 주로 군의 남부와 북부에 치우쳐 있다. 해안선은 굴곡이 심하며 해안가에는 넓은 간석지가 펼쳐져 있고 가도·탄도·대화도·대계도 등 수 십 개의 섬들이 있다. 하천으로는 안흥천·전장천 등 10여 개가 있으며, 이 중 전장천은 동림군 서쪽에서 흘러 하류에서 철산군과 염주군의 경계를 이룬다.
기후는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평안북도 내에서 겨울철 기온이 가장 높고 온도차가 적으며 비가 제일 적게 오는 곳이다. 연평균기온은 8.9℃, 1월 평균기온은 -7.9℃, 8월 평균기온은 24℃이며, 연평균강수량은 900㎜이다. 첫서리는 11월 4일경, 마감서리는 3월 20일경에 내린다. 산림은 군 전체면적의 46%를 차지하며, 주요 수종은 소나무와 참나무이다.
이 군의 주요 산업은 농업과 공업으로 경지면적은 군 넓이의 약 40%를 차지하고, 그 가운데 논이 52%, 밭이 42%, 과수원이 6%를 각각 차지한다. 주요 농산물은 쌀·옥수수·콩이며, 쌀생산량은 64%나 된다. 이러한 농산물은 군의 북부와 중부지대에서 나며, 밭작물로는 채소생산을 주로 하고, 가을채소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공예작물로는 잎담배를 재배하고, 과일은 사과·배·복숭아·포도 등이 산출된다.
또한, 서남부가 바다에 면해 있어서 수산업이 발달하여 멸치·전어·숭어·갈치·새우·조개류 등이 많이 어획, 채취되며, 민어·굴 등을 양식하는 천해양식이 발달되었다. 공업은 채굴업·기계공업·지방공업으로 이루어졌으며, 지방공업은 식료·생필품·직물·피복·종이공업 등이 있고, 여기에서 생산되는 주요 제품은 식료품·철제일용품·문화용품·화학제품·질그릇 등이다.
교통망으로는 철도보다 자동차를 이용하며, 정주군의 마산포, 선천군의 신미도 등 여러 지역과 섬 사이에 해상운수도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철산고등중학교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