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관련 정보
차첩
차첩
법제·행정
개념
조선시대 품고아문에서 7품 이하의 관원에게 또는 관부의 장이 관속에게 내리는 문서.
목차
정의
조선시대 품고아문에서 7품 이하의 관원에게 또는 관부의 장이 관속에게 내리는 문서.
내용

차정(差定: 임명)·물침(勿侵: 허가) 또는 훈령(訓令) 등에 첩을 내린다. 차정하는 첩은 차첩(差帖)이라 하고, 물금하는 첩은 물금첩(勿禁帖)이라 한다. 수령이 향리나 제관(祭官)을 임명할 때에도 차첩을 쓴다. 『경국대전』 예전에 보이는 첩의 서식은 다음과 같다.

某曹爲某事云云合下仰照驗施行須至帖者

右帖下某准此

年印 月 日

帖 判書押 參判押 參議押 正郎押

佐郎押

첩은 매우 다양하게 쓰이는 문서로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고문서 가운데에는 1601년(선조 34) 6월 이조에서 새로 급제한 생원 유기문(柳起門)을 권지성균관학유(權知成均館學諭)로 임명하는 차첩과 1868년(고종 5) 11월 군수가 향리 변태년(卞泰年)을 이방(吏房)에 임명하는 차첩 등 현재 전해지고 있는 문서는 대단히 많다.

참고문헌

『경국대전(經國大典)』
『전율통보(典律通補)』
『한국고문서연구』(최승희, 지식산업사, 1989)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최승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