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집 ()

목차
관련 정보
청계선생집
청계선생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홍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95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홍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9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8권 3책. 목판본. 1695년(숙종 21)에 쓴 김창협(金昌協)의 서문에 의하면, 저자의 맏아들 천서(天敍)가 김수항(金壽恒)이 산정(刪定)하다가 완성하지 못한 것을 추려서 1695년에 간행하였다고 한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2에 시 237수, 권3에 교(敎) 1편, 비답(批答) 3편, 표(表) 2편, 전(箋) 6편, 권4·5에 소(疏) 13편, 권6에 차(箚) 1편, 계(啓) 3편, 권7·8에 잡저 21편, 부록으로 제문 6편, 만시(挽詩) 46수, 묘지명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문(詩文)은 청아하고 운율에 깊이가 있는 것이 특색이다. 차인 「옥당응지진언차(玉堂應旨進言箚)」는 대설(大雪)이 지난 뒤 번개와 천둥이 치는 것은 국가의 흥망에 관한 조짐이므로 이것을 거울삼아 정치를 힘쓰고 태평의 치적을 도모할 것을 진언한 것이다.

잡저 중 「한거문답(閒居問答)」에서는 치란(治亂)·군도(君道)·군직(君職)·군심(君心)·군학(君學)·군량(君量)·수간(受諫)·호현(好賢)·임관(任官)·정기간(整紀綱)·상명절(尙名節)·무실(務實)·당금(當今)·혁폐(革弊)·내수(內修) 등 임금이 하여야 할 일과 정치 전반에 관한 논술을 문답식으로 해설한 것이다.

소의 「응지진폐소(應旨陳弊疏)」와 「응지본도민폐소(應旨本道民弊疏)」는 당시의 시폐를 열거하고 그 시정을 요구한 글이다. 그 밖에도 「경천잠(敬天箴)」·「정심잠(正心箴)」·「종간잠(從諫箴)」에는 저자의 정치이념이 담겨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