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참외모양 병 ( 참외 )

목차
관련 정보
청자 참외모양 병
청자 참외모양 병
공예
유물
국가유산
고려 시대의 청자 병.
이칭
이칭
청자소문과형병, 청자과형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청자 참외모양 병(靑磁 瓜形 甁)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62년 12월 20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시대의 청자 병.
내용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22.8㎝, 입지름 8.4㎝, 밑지름 7.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려 인종(仁宗, 재위 1122~1146)의 능인 장릉(長陵)에서 ‘황통 육년(皇統 六年, 1146년)’이라는 제작 연대가 적힌 인종의 시책(諡冊)과 함께 발견되어, 이 병 역시 고려청자 최성기인 1146년(인종 24)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참외 모양의 동체(胴體)에 목이 긴 참외 꽃 모양의 아가리, 치마 주름 모양의 높은 굽이 받치고 있는 화병으로, 단정하고 세련된 형태의 작품이다.

유색(釉色)은 담녹색(淡綠色)이 감도는 맑은 비색유약(翡色釉藥)으로 얇고 고르게 시유되었으며, 부분적으로 유빙렬(釉氷裂)이 있다. 태토(胎土)는 정선되었고 굽 받침은 내화토(耐火土)빚음이며, 번조한 흔적이 굽 안바닥 여러 곳에 남아있다.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7·8호 가마터를 중심으로 동일한 청자편이 발견되고 있어 주목된다. 참외모양 병은 다른 고려 고분의 출토품에도 보이며 중국의 자주요(磁州窯)와 경덕진(景德鎭)가마에서도 비슷한 유형의 병이 발견되었다.

고려인은 그들의 미감(美感)에 맞도록 참외모양 병을 단아하고 세련된 화병으로 발전시켰다. 전체적으로 우아하고 단정한 기형과 비색의 은은한 유색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 - 국보 도자기 및 기타』(문화재청, 2011)
『국보』청자·토기(최순우 편, 예경산업사, 198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