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양각 갈대기러기문 정병 ( 갈대기러기 )

목차
관련 정보
청자 양각갈대기러기문 정병
청자 양각갈대기러기문 정병
공예
유물
문화재
고려 중기의 청자 정병.
이칭
이칭
청자 양각위로수금문 정병, 청자 양각위로문 정병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목차
정의
고려 중기의 청자 정병.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4.2㎝, 입지름 1.3㎝, 밑지름 9.3㎝.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동체의 한 면에는 물가의 갈대와 그 밑에서 노닐고 있는 기러기 한 쌍을 새겼고, 다른 한 면에는 수양버들 아래에서 헤엄치며 노니는 원앙 한 쌍을 새겼다.

넓은 삿갓 모양의 머리 부분에는 그 상면을 내구(內區)와 외구(外區)로 나누어 내구 사방에는 운문(雲文) 하나씩, 외구에는 당초문대(唐草文帶)를 둘렀고, 어깨 부분에는 여의두문대(如意頭文帶)를 양각하였다.

머리 부분에서 높이 솟은 주구(注口)는 육각으로 모깎기를 하였고, 굽다리는 밖으로 약간 퍼져서 안정된 자세를 보인다. 유색(釉色)은 맑은 담청색계이며 대체로 유조(釉調)가 고르고 전면에 미세한 유빙렬(釉氷裂)이 있다. 이러한 정병의 파편이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가마터에서 조사된 바 있다.

이 정병은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국보, 1962년 지정)의 양식을 재료만 청자로 바꾸어 제작한 작품으로, 형태와 장식문양의 내용도 비슷하다.

참고문헌

『국보』청자·토기(최순우 편, 예경산업사, 1986)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