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간집 ()

목차
관련 정보
초간집
초간집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 학자, 권문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12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 학자, 권문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12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3책. 목판본. 1812년(순조 12) 간행되었다. 권두에 정종로(鄭宗魯)의 서문과 권말에 황용한(黃龍漢)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수에 연보가 있고, 권1·2에 시 245수, 권3에 소(疏) 3편, 전(箋) 3편, 잠(箴) 2편, 명(銘) 1편, 제문 12편, 발(跋) 2편, 책(策) 3편, 권4에 잡기 1편, 대동운옥범례(大東韻玉凡例), 권5는 부록으로 행장 수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의 「청종권소(請從權疏)」는 인순왕후 심씨(仁順王后沈氏)가 사망한 뒤 벌어진 상례에 대한 다양한 논란으로 시비가 일어났을 때, 이 같은 이론(異論)이 제기되는 것은 『오례의(五禮儀)』 조건이 미진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하고, 상례규정을 상세히 마련하고자 『오례의』의 개찬(改撰)을 주장한 상소이다.

「정원논재이계(政院論災異啓)」는 정원(政院)에서 재이를 논의한 내용을 상소한 것으로, 천재(天災)가 일어나는 것은 까닭이 있는 것이라 전제하고, 그 원인을 규명하여 조정에서는 민원을 사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주장한 내용이다.

『대동운부군옥』은 송나라 음시부(陰時夫)가 편찬한 『운부군옥(韻府群玉)』을 본떠서 우리나라 서적 중 역사적 사실을 뽑아 수록한 일종의 백과사전으로, 지리·국명·성씨·인명·효자·열녀·수령·산이름·나무이름·꽃이름·동물이름 등 11개 항목으로 분류하고, 단군시대로부터 선조에 이르기까지의 여러 가지 사실을 유명한 저서들을 참고하여 운자(韻字)의 차례대로 배열하여 놓은 것이다. 이 책에는 그 범례가 실려 있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