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승일 ()

현대문학
인물
일제강점기 「아내」, 「떠나가는 날」, 「그 여자」 등을 저술한 소설가. 연극인.
이칭
이칭
추곡(秋谷)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01년(고종 38)
사망 연도
1966년
본관
해주(海州)
출생지
함경남도 원산
정의
일제강점기 「아내」, 「떠나가는 날」, 「그 여자」 등을 저술한 소설가. 연극인.
개설

1901년 함경남도 원산에서 출생했다. 아호는 추곡(秋谷)으로, 고전무용가 최승희(崔承喜)의 오빠이며, 부인은 배우 석금성(石今星)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배재고등보통학교를 중퇴한 후 일본에 건너가 니혼대학[日本大學] 미학과에서 수학했다. 일본 유학 때 나중에 매부가 된 안막(安幕)과 함께 프로문학운동에 가담하는 한편 연극 활동에 열중했다. 1920년 봄 유학시절 도쿄에서 유학생들과 우리나라 최초의 본격적인 근대극 연극단체인 ‘극예술협회’ 창립에 참여했다. 1922년에는 김우진(金宇鎭)·조명희(趙明熙)·유춘섭(柳春燮) 등과 함께 귀국하여 각 지방에 순회공연을 다녔다.

귀국 직후 1922년 조선의 연극을 개량하기 위해 극문회(劇文會)를 창립했으며, 연극·드라마·소설 등 다양한 문예활동을 했다. 1923년 사회주의단체 북성회(北星會)에 참여했으며, 이해 소설 「떠나가는 날」을 『신여성』에 발표하면서 문단에 데뷔했다. 1924년 송영·심대섭·지정신 등과 함께 사회주의 예술단체인 염군사(焰群社)를 조직했으며, 1925년 8월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발기인으로 참여했으며, 12월에는 위원, 1928년 7월에는 전국대회 준비위원으로 활동했다. 1924년 12월 경성청년회 창립에 참여했으며 집행위원, 1925년 9월에는 출판부 집행위원, 1926년 2월에는 기관지 『청년의 성(聲)』 편집부 사원으로 활동했다. 이해 6월에는 이경손과 함께 라디오드라마연구회를 조직하고 조선무선방송에서 국내외 연극 방송을 소개했다. 12월에는 문예운동사 주최 문예대강연회에서 방정환 등과 같이 강연을 했다.

1927년 2월 경성방송국이 개국하자 입사해 1936년까지 근무하면서 방송극을 연출했다. 경성방송국에 입사했다는 이유로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에서 제명되었다. 1930년 9월 연출한 「산」을 미나도좌에서 상연했다. 이 무렵을 전후해서 여러 편의 소설을 발표했으며, 연극에 관한 시평적 글 「연극의 기업화」(조선일보, 1935.7) 등을 발표했다. 1937년 경성방송국을 그만두고 동생 최승희의 귀국공연, 1938년 1월 장혁주 극본 「춘향전」 전국 순회공연을 기획했다. 1939년 동아영화제작소를 창립했으며, 1940년 5월 영화인협회 정회원으로 활동했다. 1941년 지원병 입대를 홍보하는 영화 『지원병』을 제작했다. 1944년 동생 최승희의 중국 공연의 실무책임을 맡았다.

중국 공연 중 해방을 맞았으며, 1946년 2월 귀국했지만 일제협력 등 여러 가지 상황이 좋지 않자 동생 최승희 부부와 함께 7월 월북했다. 북한에서 박미성과 더불어 정상급 시인대우를 받았다. 소설작품으로 「아내」(신여성, 1924.6)를 비롯하여 「떠나가는 날」과 그 속편인 「그 여자」(신여성, 1924.8.10)·「김천지의 죽음」(매일신보, 1924.12.7)·「바둑이」(개벽, 1926.2)·「봉희(鳳姬)」(개벽, 1926.4)·「홍한녹수(紅恨綠愁)」(매일신보 1926.11.14)·「경매」(별건곤, 1926.12)·「콩나물과 소설」(별건곤, 1927.1)·「이 살림을 보아라」(매일신보, 1927.1.1)·「죄」(별건곤, 1927.2)·「종(鍾)이」(조선지광 1929.1)·「거리의 여자」(대조, 1930.5)·「누가 익이었느냐?」(대조, 1930.8)·「방랑소경, 떠돌아 다니는 사람들」(조선중앙일보, 1933.11) 등이 있다. 1966년 사망했다.

참고문헌

『친일인명사전』3, (민족문제연구소, 2009)
『한국근대연극사』(유민영, 단국대학교출판부, 1996)
『북한문학사전』(이명재 편, 국학자료원, 1995)
『한국근대문인대사전』(권영민, 아세아문화사, 1990)
『한국민족문학론연구』(권영민, 민음사, 1988)
『한국현대소설연구』(조남현, 민음사, 1987)
『한국방송60년사』(한국방송공사, 1967)
『매일신보』(1940.7.8)
『조선일보』(1940.2.22)
『동아일보』(1922.4.5·1930.9.19)
『중외일보』(1926.12.20·12.26·1928.7.29·8.1)
『시대일보』(1926.1.9·6.16)
「1920~1930년대 경성의 미디어 공간과 인텔리겐치아-최승일(崔承一)의 경우」(이상길, 『언론정보연구』 제47권 제1호, 2010.2)
「문단삽화」(초사, 『삼천리』 제3권 제12호, 1931.12.1)
「경성청년 제사차 임시총회에 관한 건」(1925.9.5)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발기회의 건」(1925.8.24)
「경성청년회 창립총회의 건」(1924.12.12)
「각 단체 연합상담회에 관한 건」(1924.6.7)
「사회일지(4월)」(일기자, 『개벽』 23, 1922.5)
집필자
성주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