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후기 참지정사, 첨의찬성사, 상장군 등을 역임한 관리.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대장군|상서우복야|판추밀원사|어사대부|참지정사|첨의찬성사|상장군
관련 사건
몽골침입|개경환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후기 참지정사, 첨의찬성사, 상장군 등을 역임한 관리. 무신.
생애 및 활동사항

1255년(고종 42) 대장군(大將軍)의 지위에 있었는데 몽골병 10여기가 승천성(昇天城: 경기도 개풍군 지역)에 침입하자 이들을 회유하여 물러가게 하였다. 1257년 최씨무신정권의 제3대 집권자인 최항(崔沆)이 죽자 선인열(宣仁烈)·채정(蔡楨) 등과 함께 야별초(夜別抄)·신의군(神義軍)·서방(書房)·도방(都房) 등을 모아 최의(崔竩)를 옹위하여 후계자로 세우는 데 공을 세웠고, 그 공으로 최의의 신임을 얻어 측근으로 활약하였다.

1262년(원종 3)에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가 되었고 다음해에는 동지추밀원사 태자빈객(同知樞密院事太子賓客)이 되었으며, 1268년(원종 9)에는 판추밀원사(判樞密院事)로 단련조병도감판사(團鍊造兵都監判事)를 겸하였다. 다음해 임연(林衍)이 원종을 폐하고 안경공 왕창(安慶公 王淐)을 옹립하는 데 공을 세워 어사대부(御史大夫)에 올랐다.

1270년(원종 11) 정월에 임연이 원나라 세조의 친조(親朝) 명령에 번민하다가 등창으로 사망하였지만 일시 참지정사(參知政事)로서 관직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같은 해 5∼6월 임유무정권(林惟茂政權)이 붕괴되고 개경환도(開京還都)가 단행되어 왕정복고(王政復古)가 이뤄진 후, 1271년(원종 12)에 임연이 왕을 폐위시킬 때 함께 모의한 죄로 몽골 단사관(斷事官) 불화(不花), 맹기(孟琪) 등의 탄핵을 받고 면직되었다. 이후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상장군(上將軍)에 이르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몽고침입에 대한 최씨정권의 외교적 대응』(강재광, 경인문화사, 2011)
『고려의 무인정권』(김당택, 국학자료원, 1999)
「최충헌정권과 무인」(김당택,『두계이병도박사구순기념 한국사학논총』, 지식산업사, 1987;『고려의 무인정권』, 국학자료원, 199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