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강릉(江陵). 초명은 원(遠). 자는 유명(惟明). 아버지는 강릉군(江陵君) 최유련(崔有璉)이다.
도평의사사지인(都評議使司知印)으로 초임된 뒤, 1380년(우왕 6) 낭장으로 규정(糾正)을 겸하여 지정선군사(知旌善郡事)를 지냈다.
그 뒤 교주도안렴사(交州道按廉使)가 되었다가 판도전법총랑(判圖典法摠郎)을 지냈다. 1390년(공양왕 2)에 사헌부집의를 거쳐 감문비순위대호군(監門備巡尉大護軍)이 되었다. 그 뒤 삼사우윤(三司右尹)이 되었을 때 삼사좌윤으로 있던 이방원(李芳遠: 뒤의 太宗)과 친교를 맺어 조선 개국에 기여하였다.
1392년에 판통례문사(判通禮門事)에 오르고 조선 개국 후 중추원우부승지를 거쳐 좌부승지가 되었다. 1394년(태조 3) 중추원부사에 승진했고, 이듬해 경기좌도도관찰사 겸 병마도절제사가 되었다. 1397년에 완산부윤(完山府尹)이 되고, 1400년(정종 2)에 대사헌에 올랐으며, 좌군총제를 겸하였다.
1402년(태종 2)에 전라도도절제사가 되었고, 1404년에 참찬의정부사에 올랐다. 이듬해에는 공조판서를 거쳐 중군도총제(中軍都摠制)를 역임하였다. 1405년 모친상을 당하여 사직하고 고향으로 돌아갔으나 이듬해 왜구가 침범해오자, 형조의 소청(疏請)으로 상중에도 불구하고 장발(奬拔)되어 충청도병마사 겸 수군도절제사에 보직, 왜구 소탕에 힘썼다.
1408년에 길주도도안무사(吉州道都安撫使)가 되었고, 이듬해 영진주목사(領晋州牧事)가 되었다. 1412년에 형조판서에 올랐고, 이듬해 2월에 하성절사(賀聖節使)가 되어 명나라에 갔다가 그 해 6월에 돌아왔다.
1413년 서북면도순문사(西北面都巡問使)로 평양부윤을 겸다가 곧 평안도도순문찰리사(平安道都巡問察理使)가 되었는데 변방 주민들의 조세를 감면해줄 것을 소청하였다. 1415년에 의정부참찬이 되었고, 이듬해 좌군총제부사와 판우군부사가 되어 왕명에 따라 흥천사(興天寺) 사리전(舍利殿)에서 기우제를 지냈다.
1418년에 개성유후사유후(開城留後司留後)가 되었다가 의정부찬성사를 거쳐 호조판서가 되었다. 1420년(세종 2) 경상도도관찰사가 되었으나 부하가 공금을 착복한 것을 관리하지 못했다는 책임으로 파직되었다. 1424년에 재기용되어 판우군도총제가 되었으며 명나라 태종이 죽자 진향사(進香使)가 되어 명나라 연경(燕京)에 다녀왔다. 시호는 희경(僖景)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