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익성전 ()

최익성전
최익성전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
구성 및 형식

1책. 필사본. 편말(篇末)에 ‘계축정월이십구일필서’라 적혀 있으며, 뒷 부분에 「삼옥삼주기(三玉三奏記)」라는 소설도 함께 들어 있다. 「최익성전」은 전면 97면으로서, 결말부의 마무리가 되어 있지 않은 채, 전쟁이 치열한 가운데 절정 부분에서 끝나 버린 미완성 작품이다.

내용

원나라 무종(武宗) 즉위 23년, 양주(楊州) 땅의 최상서(崔尙書)·윤부인 부부와 오상서(吳尙書)·조부인 부부는 늘그막에 기자(祈子)하여 자식을 얻어, 각각 익성(翼星)과 금선(錦善)이라 하였다. 이 무렵 전횡(專橫)을 하던 진권(陳權)의 다섯 형제는 충직한 최상서를 모함하여 유배 보내니, 윤부인은 병으로 세상을 떠나고 익성은 오상서에게 의탁한다.

오상서도 장인인 조정문을 비호하고 진권과 대립하다가 멀리 유배당하고, 조정문은 사형을 받으니 조부인 역시 충격으로 죽게 된다. 익성은 진권의 위해를 벗어나 도인들을 찾아 입산하여 무예와 도술을 연마한다.

한편, 오소저는 양만리(楊萬理)라는 자의 유혹과 위협을 피하다 온갖 고초를 겪고, 병으로 죽기 직전에 태을진군(太乙眞君)의 신조(神助)를 받아 일세의 여걸로 탈바꿈하게 된다. 역모를 꿈꾸는 진권이 남만(南蠻)·서융(西戎) 등 오랑캐와 내통하고 황제를 치니, 급박해진 조정에서는 인재 규합의 방(榜)을 내린다.

이에 때를 기다리다 영조(靈助)를 입고 달려온 오소저와 최익성은 무예의 높음에 따라 각각 대원수와 부원수가 되어 출전하여 진권과 대적한다. 그들은 진권의 무예와 요술·야습 등의 궤계(詭計)를 다 물리치고 승승장구 끝에 진권 형제들의 목을 벤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의 성격은 최상서와 오상서 양가를 중심으로 일약 대국적인 사건에까지 확대되어 가는 과정을 그린 일종의 영웅·군담 소설의 일맥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제목상의 주인공인 최익성은 결말 부분에 이르면 한갓 제이의적(第二義的)인 명분으로 밀려나는 느낌이 강하고, 실제 주역이 오소저로 바뀌는 기이한 현상을 낳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는 이 작품은 「홍계월전(洪桂月傳)」·「정수정전(鄭秀貞傳)」·「삼옥삼주기」 등과 같은 일칭 여호걸계(女豪傑系) 소설의 한 맥락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작중에 사람의 명칭이 일관성을 유지하지 못한 것이라든가, 진권의 아우 진명(陳明)의 경우와 같이 한 번 죽었던 사람이 다시 등장되는 등 치밀성이 부족하다. 또한 내용 구성에서도 고전 소설 일반의 천편일률성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참고문헌

『한국고전소설연구』(김기동, 교학사, 1981)
「영웅소설 작품구조의 시대적성격」(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977)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