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헌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추헌유고
추헌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홍만우의 시 · 주문 · 논 · 소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홍만우의 시 · 주문 · 논 · 소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3권 3책. 필사본. 편자와 필사 경위가 밝혀져 있지 않다. 제1·2책에 시 375수, 주문(奏文)·제(制)·부(賦)·논(論)·광명(壙銘)·광지(壙誌) 각 1편, 서(書) 3편, 잡저 2편, 제3책에 소(疏) 15편, 제문 19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시에는 복잡한 정치에 달아 오른 심금을 자연 속에 용해시키려는 의도가 엿보이는데, 「만영(謾詠)」·「수(愁)」는 정쟁(政爭)에 따른 심정이 적의하게 표현된 작품이다. 「증일본상사조대년(贈日本上使趙大年)」은 일본에 사신으로 가는 조대년에게 막중한 외교임무를 차질 없이 수행해 국위를 선양할 것과 무사히 귀환할 것을 비는 내용이다.

「무적국외환자국항망(無敵國外患者國恒亡)」에서는 나라를 사람에 비유해 몸이 항상 건강하던 사람은 불의의 사고에 대처하는 능력이 모자라서 죽는 것과 같이 국가도 내우와 외환으로 민심을 단련하지 않으면 망하기 쉽다고 역설적으로 주장했다.

서(書)의 「여정보덕사신서(與丁輔德思愼書)」는 국가가 파쟁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으니 뜻이 있는 사람들끼리 모여 헤쳐 나갈 것을 청하는 내용으로, 당시 치열했던 당쟁의 일면을 살필 수 있다. 책제인 「문질병(問疾病)」에서는 병이 생기는 원인을 지적하고 병을 다스리는 데에는 발병의 근원이 자생적인 것인지 또는 전염된 것인지를 파악, 적절한 처방을 해야만 병이 쉽게 나을 수 있다고 하였다.

「사부수찬겸진소회소(辭副修撰兼陳所懷疏)」는 부수찬의 직을 사임하면서 국정에 대한 생각을 진언한 것으로, 저자는 당쟁을 없애고 모두 합심해 국사를 보살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하였다. 「여제문(厲祭文)」은 당시 돌림병이 만연하자 그 퇴치를 위해 쓴 제문이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