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원굿 (굿)

목차
관련 정보
강릉단오제 / 축원굿
강릉단오제 / 축원굿
민간신앙
의례·행사
행운과 초복을 기원하는 재수굿 형태의 무속의례. 재수굿.
이칭
이칭
재수굿, 성주굿, 발원굿
목차
정의
행운과 초복을 기원하는 재수굿 형태의 무속의례. 재수굿.
내용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병자의 병을 낳게 하는 축원굿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또한 씻김굿 중에 망자(亡者)를 위한 축원거리로 나오기도 한다. 그러나 축원굿이라고 하면 재수 축원굿을 의미하게 되고, 병을 낫게 하기 위한 축원굿은 병축원굿이라 하여 ‘병’자를 앞에 붙이고 있다.

그런데 재수굿으로서의 축원굿이 일반적인 인식인데도 서해안의 해주지역에서는 재수 축원굿이라 하여 병축원굿처럼 ‘재수’자를 관형사로 붙이는 경우도 있다. 또한 지역에 따라서는 같은 재수굿의 내용이라도 축원굿이라는 이름 대신 그대로 재수굿이라고 부르거나 성주굿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평안남도지 방에서는 생전의 초복과 행운을 기원하기 위하여 하는 굿을 재수굿이라 하며, 강원도의 영동ㆍ영서 지역에서는 복과 재수를 기원하는 재수굿이나 도신굿을 성주굿 또는 축원굿이라 하고, 호남지방에서도 집안의 운수와 재수를 위하여 하는 굿을 성주굿이라고 한다.

이 축원굿은 한 개인을 축원하기 위한 굿이 되기도 하고, 또한 한 가정을 축원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마을 공동제의인 무(巫)굿에서도 마을의 번영과 재수를 기원하는 굿거리가 들어 있다.

동해안지역의 별신굿에서는 마을과 주민들의 재수와 수명장수를 기원하는 ‘일월(日月)맞이굿’이 있고, 남해안의 별신굿에서도 마을에 대한 축원굿으로 ‘판굿’이 있다. 그리고 서해안지역의 배연신굿과 대동굿에서도 ‘소당제석굿’이나 ‘제석굿’은 역시 복과 재수를 기원하는 굿거리이다.

한편, 호남의 해남지역에서 볼 수 있는 병축원굿은 한 가정에서 가족 중에 병을 앓는 사람이 있을 경우 병이 낫기를 축원하는 굿이다.

무굿 아닌 비손에서는 재수나 병축원 외에도 기자발원(祈子發願, 또는 三神祝願)이나 혼사축원 등 축원거리가 더욱 다양하게 나타난다. 축원굿의 내용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참고문헌

『한국무속연구(韓國巫俗硏究)』(김태곤, 집문당, 1981)
「풍어제(豊漁祭)」(하효길,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제13책,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82)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