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성좌 ()

연극
단체
신파극 초창기에 대중연극을 주도하였던 신파극단.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신파극 초창기에 대중연극을 주도하였던 신파극단.
개설

우리 나라 최초의 신파극단이었던 혁신단(革新團)의 공연이 어렵게 된 무렵인 1918년 2월에 김소랑(金小浪)을 좌장으로 하고 숙련된 배우 수십 명으로 결성된 대표적인 신파극단이다.

자금은 김소랑의 처 마호정(馬豪政)이 대었다. 단성사(團成社)에서 창립공연을 가졌으며 신극사상 두번째 여배우인 마호정을 부좌장으로 삼아 이채를 띠었다.

연원 및 변천

이 극단은 1920년대 초까지 단성사를 본거지로 삼고 <야성 夜(野)聲>·<진중설 陣中雪>·<천민 天民>·<사람의 원수>·<선처(善妻)와 양녀(良女)>·<불여귀 不如歸> 등을 공연하여 대중의 폭넓은 호응을 받았다.

그러나 1923년에 우리 것다운 신극을 공연한 토월회(土月會)의 등장으로 신파극단들은 흩어지거나 지방으로 밀려나 유랑극단이 되었는데, 이 극단도 어려운 상황 속에서 결속하여 신파극의 맥을 이어나갔다. 지방공연을 다니면서도 토월회에 자극을 받아 부단히 자체개혁을 하면서 이른바 개량신파극을 하였다.

따라서 이 극단은 당대를 대표할 수 있는 신파배우들인 강홍식(姜弘植)·성광현(成光顯)·전경희(全景希)·이종철(李鍾哲)·이애리수(李愛利秀)·이경설(李景雪)·신은봉(申銀鳳)·전옥(全玉)·나품심(羅品心) 등을 단원으로 포용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12년 동안 이 극단을 이끌던 김소랑·마호정 부부가 재정적으로, 또 건강상 버틸 수가 없었기 때문에 1929년 말엽에 해산하고 말았다.

의의와 평가

이 극단은 토월회라는 신극의 영향을 받아 저질 신파극을 개량한 개량신파극을 공연함으로써, 1910년대보다는 질적으로 나은 신파극을 대중에게 제공한 1920년대의 대표적 신파극단이다. 이 극단의 단원들이 주축이 되어 뒤에 조선연극사(朝鮮硏劇舍)를 탄생시켰다.

참고문헌

『한국신극사연구』(이두현,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