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 통도사 대웅전 및 금강계단 ( )

목차
관련 정보
양산 통도사 대웅전 및 금강계단
양산 통도사 대웅전 및 금강계단
건축
유적
문화재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에 있는 조선후기 에 중건된 사찰건물. 국보.
목차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에 있는 조선후기 에 중건된 사찰건물. 국보.
개설

1997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5칸의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다. 신라 선덕여왕 때 주1된 이후 여러 차례 중수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1645년(인조 23)에 중건하였다. 금강계단은 초층 너비 약 9.9m, 총 높이 약 3m이다.

내용

대웅전은 다른 전각과는 달리 정면의 너비가 측면보다 좁은 장방형을 이루고 있다. 이것은 이 전각 내에 부처를 모시지 않았기 때문에 전각 정면이 건물 후면에 있는 석가모니의 주2를 모신 금강계단(金剛戒壇)을 향하여 있고, 또한 불이문(不二門)을 들어섰을 때 마주보이는 측면에도 주3을 만들어 양쪽을 다 강조한 특이한 구성 때문이다. 그 결과 건물의 삼면에는 방향에 따라 대웅전, 금강계단, 적멸보궁 등 각기 다른 편액이 걸려

지대석(地臺石)주4을 놓고, 주5주6를 세우고 이 사이에 연꽃이 조각되어 있는 면석(面石)을 끼우고, 상부에 상대갑석(上臺甲石)을 놓아 마무리한 주7 주8을 이루는데, 이는 이 대웅전의 초창 때인 신라시대의 것이라 생각된다.

기단 위에 놓은 초석 또한 일부는 주좌(柱座)를 쇠시리(나무의 모난 면을 모양지게 깎아 만든 것)한 고격(古格)의 것이고, 일부는 막돌초석이며, 이 위에 배흘림 두리기둥을 세웠다.

기둥 윗몸은 주9으로 결구하고 이 위에 평방(平枋)을 놓아 공포(栱包)를 기둥 위에는 물론, 기둥 사이 평방 위에도 놓은 주10을 이루고 있다.

공포의 짜임은 외삼출목(外三出目) · 내사출목(內四出目)으로서 초제공(初諸貢)이나, 2제공 위에 놓인 살미첨차[山彌檐遮]의 끝은 강직한 앙서[仰舌]로 되어 있으며 내부에서는 교두형(翹頭形)으로 되어 건실한 짜임을 이루고 있다.

가구(架構)는 내부의 서측 주11에 고주(高柱)들을 세워, 이들 고주와 동측면의 평주 사이에 대들보[大樑]를 걸고, 이 위에 동자 기둥을 세워 중종보[中宗樑]와 종보[宗樑]를 걸었다.

그러나 전면부터 제4주열에는 2개의 고주를 세워 고주 사이에 대들보를 걸었고, 또 제5주열에는 양측 모두 고주를 세우지 않았기 때문에 후면 주12 기둥과 제4주열 고주간에 주13을 걸었다.

바닥은 우물마루이고, 천장은 층단천장을 이루면서 우물천장으로 마무리하였다. 불이문쪽과 금강계단을 향하여 이중으로 정면성을 주기 위하여 합각을 양측면 전면 세 곳에 마련하였음이 이채롭다.

금강계단은 이중의 넓은 방단(方壇) 위에 주14의 부도를 안치하였다. 석단 네 귀퉁이에는 사천왕상을, 기단 상하 면석에는 비천상과 불보살상을 배치하였다.

석단 외곽에는 석조 난간을 돌렸고, 계단 정면에는 석문(石門)을 두었으며, 계단의 층면석에는 총 32구의 불보살상을 나타냈다. 계단의 상층 중심부에 위치한 석종부도는 복련과 앙련의 상하 연화대 위에 위치하며, 그 조각수법이 다른 조각들과는 달리 매우 우수하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보물 1(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한국건축미』(주남철, 일지사, 1983)
문화재청(www.cha.go.kr)
주석
주1

어떤 사업을 처음으로 시작함. 또는 그 시초. 우리말샘

주2

석가모니의 유골. 후세에는 화장한 뒤에 나온 구슬 모양의 것만 이른다. 우리말샘

주3

지붕 위의 양옆에 박공으로 ‘人’ 자 모양을 이루고 있는 각. 우리말샘

주4

건축물을 세우기 위하여 잡은 터에 쌓은 돌. 우리말샘

주5

건물의 모퉁이에 세운 기둥. 우리말샘

주6

쓰러지지 않도록 받치는 기둥. 우리말샘

주7

구조체인 기둥과 보를 부재의 접합으로 축조하는 방법. 우리말샘

주8

건축물의 터를 반듯하게 다듬은 다음에 터보다 한 층 높게 쌓은 단. 우리말샘

주9

한식 나무 구조 건물의 기둥 위에 건너질러 장여나 소로, 화반을 받는 가로재. 오량(五樑) 집에 모양을 내기 위하여 단다. 한자를 빌려 ‘昌枋’, ‘昌防’으로 적기도 한다. 우리말샘

주10

전통 목조 건축물에서, 공포를 기둥머리 위와 기둥과 기둥 사이의 공간에 짜 올리는 방식. 우리말샘

주11

벽이나 기둥을 겹으로 두른 건물의 안쪽 둘레에 세운 칸. 우리말샘

주12

절의 법당이나 큰방의 한복판. 우리말샘

주13

한쪽 끝은 기둥머리에 짜이고 다른 쪽 끝은 들보의 중간에 걸친 보. 우리말샘

주14

이름난 승려의 사리를 넣어 두기 위하여 종 모양으로 만든 부도(浮屠). 인도에서 전해진 것으로, 고려 시대에 매우 발달하였다. 우리말샘

집필자
한동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