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독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성균관 및 사학(四學)의 유생들이 정기적으로 치르던 시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성균관 및 사학(四學)의 유생들이 정기적으로 치르던 시험.
내용

성균관의 생원·진사 및 사학 유생들의 수학 과정은 『대학』 1개월,『중용』 2개월, 『논어』와 『맹자』 각 4개월, 『시경』·『서경』·『춘추』 각 6개월, 그리고『주역』과『예기』는 각 7개월로 독서 기간이 정해져 있었다.

이 과정에서 학업 성적을 평가하기 위해 성균관 유생의 경우는 매달 초순에 예조 및 성균관의 당상관이 함께 모여 통(通 : 2分)·약(略 : 1分)·조(粗 : 半分)·불(不)로써 고열(考閱)하였다. 그리고 매 식년(式年) 여름 초에 분수(分數)를 통계해 우등 5인에게는 곧바로 문과복시에 응시할 수 있는 특전을 부여하였다.

또, 재생과 사학 유생의 경우도 매달 초순에 중학(中學)에서 예조낭청·성균관장관, 그리고 사학관원 가운데 1인이 함께 모여 유생을 모아 사서를 고강하고 우등 10인에게 곧바로 생원시·진사시에 응시할 수 있는 특전을 주었다.

이 고강에서 계속 ‘불’을 받을 경우 성균관 유생은 학규에 따라 처벌되고 재생 및 사학의 유생은 도기(到記 : 출석부)에서 이름이 삭제되어 3개월 안에는 다시 이름을 등재할 수 없었다.

조선 후기에는 그 선발 인원수도 10인으로 늘리고 시험도 제술(製述)과 강서(講書)로 나누어 제술은 부(賦) 1편과 표·전(箋)·논 중 1편을 짓게 하여 선발하였다. 강서는 사서삼경을 배송(背誦)으로 선발하였다. 또, 그 선발 대상도 확대되어 대사성이 경향(京鄕) 유생을 제술과 강서로 11차에 걸쳐 시험을 보아 우등한 자는 곧바로 식년문과복시에 응시할 수 있게 하였다.

참고문헌

『명종실록(明宗實錄)』
『숙종실록(肅宗實錄)』
『대전회통(大典會通)』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