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사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사역원에 소속되어 통역을 담당하던 인원을 가리키는 용어.
이칭
이칭
역관(譯官)
제도/관직
소속
사역원
내용 요약

통사는 조선시대에 사역원에 소속되어 통역을 담당하던 인원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역관을 지칭하는 용어지만 통사 모두가 역과에 입격하여 역관으로 근무한 것은 아니었다. 통사가 붙어서 용어를 이룬 것은 소통사, 향통사, 어전통사, 당상통사, 상통사, 차상통사, 압물통사, 장무통사, 선래통사 등이 있다.

정의
조선시대, 사역원에 소속되어 통역을 담당하던 인원을 가리키는 용어.
설치 목적

통사(通事) 이외에 역관(譯官)을 가리키는 용어로는 주1, 주2, 주3, 역인(譯人), 역설(譯舌), 주4, 상설(象舌) 등이 있다. 통사가 붙어서 용어를 이루는 예는 주5, 향통사(鄕通事), 어전통사(御前通事), 당상통사(堂上通事), 상통사(上通事), 주6, 압물통사(押物通事), 장무통사(掌務通事), 선래통사(先來通事) 등을 들 수 있다.

임무와 직능

소통사는 세종 대 이후 사대교린의 주요 관문에 배치된 인원으로 사역원에서 파견된 역학훈도에게 외국어 교육을 받고 훈도의 소임을 보좌하였다. 소통사가 배치된 곳은 함경감영, 남병영(북청), 의주(義州), 위원(渭原), 초산(楚山), 벽동(碧潼), 창성(昌城), 황주(黃州), 평양(平壤), 만포(滿浦), 부산(釜山)이다. 그 가운데 15세기에 설치되어 폐지된 곳도 있으며, 역학훈도를 한학 주7으로 융통하여 보내다가 몽학 여진학(청학)으로 바뀐 곳도 있다. 소통사는 향통사 또는 역학 생도라고 부르기기도 하였다.

어전통사는 주8가 나왔을 때 문장에 뛰어나고 이문(吏文)을 해독하는 문신 1명과 중국어를 통역하는 한학역관 1명이 각각 맡았다. 사대 외교를 위해서 문신에게 이문을 익히도록 권장하였으나 실제 권장의 효과가 지속되지 않아 어전통사에 능한 문신이 적었다. 청나라에 굴복한 후에는 문신 어전통사 1인과 청학역관 1인이 어전역관으로 임명되었고 경우에 따라서는 한학역관 1인과 청학역관 1인이 함께 기용되기도 하였다.

당상통사, 상통사, 차상통사, 압물통사는 명(청)으로 가는 부경사행이나 일본으로 가는 통신사행에서 역관의 품계 또는 경력에 따라 구분된 직임이다. 사행의 규모에 따라 통사의 구분이 간략해질 수도 있었다. 장무통사는 별도 소임이 있을 때 그것을 맡는 역관이라 할 수 있고 상설직은 아니었다. 선래통사는 역관 중에서 지정하여 국경 가까운 곳에서 먼저 보내는 역관이고 선래군관과 함께 보냈다. 장무통사는 사행에서 상설직은 아니고 별도 소임이 있을 때 그것을 맡는 역관이라 하여 지정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국역연행록선집』-1, 표해록 조천기(민족문화추진회, 1976)
민족문화추진회, 『국역해행총재』(민족문화문고간행회, 1974~1977)

논문

이상규, 「17세기 왜학역관의 제도 정비와 위상」(『조선시대사학보』 83, 조선시대사학회, 2017)
백옥경, 「조선전기 역관연구」(이화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유승주, 「조선후기 대청무역의 전개과정: 17·8세기 부연역관의 무역활동을 중심으로」(『백산학보』 8, 백산학회, 1970)
주석
주1

사역원에서 번역과 통역을 맡아보던 사람.    우리말샘

주2

사역원의 벼슬아치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

글을 번역한 사람.    우리말샘

주4

사역원의 벼슬아치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

조선 시대에, 외국으로 가는 사행에 따라가거나 중국에서 오는 사신을 맞이하던 하급 통역관. 개인적인 통역이나 잡무와 관련한 통역을 주로 하였다.    우리말샘

주6

조선 시대에, 사역원에 속하여 내의원에서 쓸 약재의 무역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통역관.    우리말샘

주7

여진의 언어에 대한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하여 1426년에 사역원에 설치했던 교육 기관. 17세기 중엽에 청나라가 서자 청학(淸學)으로 고쳐 불렀다.    우리말샘

주8

임금의 명령을 전달하는 사신.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