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한 개의 종으로 된 악기로 16개의 종을 가진 편종(編鐘)과 연원을 같이하는 중국 고대의 타악기이다. 고려 예종 11년(1116)에 들어온 대성아악(大晟雅樂) 중에는 특종이 보이지 않으나 조선조 세종 때 박연(朴堧)이 아악을 정비할 무렵 황종(黃鐘)에 맞추어 만들어 궁중 아악에 사용하여왔다.
세종 때에는 등가(登歌)에 한틀, 헌가(軒架)에 아홉틀을 썼다. 등가의 특종은 황종의 음(音)이라야 하고 헌가의 9틀의 특종은 각각 9율을 가졌다. 오늘날에는 문묘(文廟) 석전(釋奠)의 등가에서만 사용되는데, 악작(樂作)할 때 박(拍) 다음에 특종을 한 번 치고 고축삼성(鼓祝三聲) 다음에 또 특종을 한번 울린다.
길이 45㎝ 가량의 편종보다 큰 종 하나를 종틀에 걸어놓고 치는데, 종은 동철(銅鐵)과 납철(鑞鐵)을 화합하여 주조한다. 종체(鐘體)를 다섯으로 구분하는데, 선(銑)·우(于)·고(鼓)·정(鉦)·무(舞)로, 선은 쇠의 광택으로 깨끗하게 씻은 것 같기 때문이고, 우는 선과 선 사이의 굽은 소매 아귀 같은 것이며, 고는 우 위의 퇴로 치는 곳이며, 정은 그 아래 고와 그 위 무의 한 중간에 있는 것이고, 무는 소리가 여기서 진동하는 것이다.
장식은 편종과 같고 목공작(木孔雀)은 다섯이 아니고 셋이다. 특종의 음은 황종이다. 주법(奏法)은 제례악(祭禮樂)을 시작할 때 박을 치고 난 다음 특종을 한 번 치고, 그 다음 축(祝) 세 번, 북(鼓) 한번 치는 것을 세 번 반복하고 다시 특종을 한 번 치고 나서 음악이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