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곡잡고 ()

유교
문헌
조선시대 문신 구사맹의 남녀 인물을 찬양하는 시 86수를 수록하여 1686년에 간행한 시집.
정의
조선시대 문신 구사맹의 남녀 인물을 찬양하는 시 86수를 수록하여 1686년에 간행한 시집.
편찬/발간 경위

저자 자신이 편집하고 뒤에 외손인 이단하(李端夏)와 친손인 구선복(具善復) 등에 의해 1686년(숙종 12)에 간행되었다. 권두에 저자의 자서, 권말에 이단하와 구선복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불분권 1책. 목판본.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내용

이 책은 남자 78인과 부녀자 8인을 찬양하는 시 86수로 구성되어 있다. 책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저자가 직접 목격한 임진왜란과 관계가 있는 인사들로서, 국가에 공이 있거나 지방의 풍속을 바로잡는 데 기여한 사람들이다. 저자는 열거할 사람이 너무 많아서 모두 기록하지 못하고 대표격인 인물만 선별하여 처리했다고 밝혔다.

저자는 찬양받을 사람 86인을 선발한 뒤, 이것을 다시 사절(死節)·역전(力戰)·창의(倡義)·사관(死官)·보필(輔弼)·대장(大將)·호종(扈從)·전사(戰死)·원사(冤死)·피란(避亂)·피집(被執)·종실(宗室)·고구(故舊)·효자·열녀·친척·찬획(贊劃)으로 분류하였다. 끝에 성혼(成渾)을 조상한 「곡우계(哭牛溪)」가 실려 있다.

「사절」에는 조헌(趙憲)·고경명(高敬命)·김천일(金千鎰)·송상현(宋象賢)·심대(沈岱)·최경회(崔慶會)·고종후(高從厚)·유팽로(柳彭老)·정명세(鄭名世)·김연광(金鍊光)·남정유(南挺蕤)·윤흥신(尹興臣)·신계형(申季衡)·양산숙(梁山璹)·이려(李勵) 등 15명이 있다. 「역전」에는 황진(黃進)·장윤(張潤)·정운(鄭運)·김시민(金時敏)·유숭인(柳崇仁)·손인갑(孫仁甲)·이종인(李宗仁)·김준민(金俊民)·성영달(成永達)·권희인(權希仁)·원호(元豪)·백광언(白光彦)·이지시(李之詩)·변응정(邊應井)·정담(鄭湛)·송제(宋悌)·김응건(金應鍵), 승장 영규(靈圭) 등 18명이 등재되어 있다.

「창의」에는 김면(金沔)과 우성전(禹性傳)이 들어 있고, 「사관」에는 김제갑(金悌甲)과 김해(金澥)가 들어 있으며, 「보필」에는 정철(鄭澈)·홍성민(洪聖民)·이산보(李山甫)·이성중(李誠中)·유홍(兪泓)·심충겸(沈忠謙) 등 6명이 들어 있다. 「대장」에는 이양원(李陽元), 「호종」에는 박숭원(朴崇元)·황정식(黃廷式)·유몽정(柳夢鼎)·이국(李0x9949)·한연(韓淵)·윤우신(尹又新) 등이 있다. 「전사」에는 신립(申砬)·신할(申硈) 형제와 유극량(劉克良)이 있고, 「원사」에는 신각(申恪)이 있으며, 「피란」에는 박점(朴漸)·이유인(李裕仁)·구만(具0x999C)·박지화(朴枝華) 등이 들어 있다.

「피집」에는 문몽헌(文夢軒)과 이신충(李愼忠)이 들어 있고, 「종실」에는 구휘(具徽)·구팽수(具彭壽)·구걸(具傑)이 있으며, 「효자」로는 김상건(金象乾)·유몽웅(柳夢熊)·오경천(吳敬天), 성박(成博)·성이(成怡) 형제, 이예남(李禮男)이 있고, 「열녀」로는 이경유(李慶濡)의 처 원씨(元氏), 조지범(趙之範)의 처 권씨(權氏), 이욱(李勗)의 처 김씨(金氏), 이종택(李宗澤)의 처 박씨(朴氏), 서매 처녀 휘양(輝陽), 평양교비 최진(崔進) 등이 들어 있다.

집필자
권오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