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자 ()

목차
고대사
제도
고구려시대의 관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구려시대의 관명.
내용

3세기 이전의 사실을 전하는 『삼국지(三國志)』동이전(東夷傳)의 고구려조에 나오는 고구려의 10관등 중 상가(相加)·대로(對盧)에 이은 제3위의 관등이다.

그러나 대로를 둘 때는 패자를 두지 않고, 패자를 둘 때는 대로를 두지 않는다고 하였으므로 대로와 패자는 같은 지위에 있었으며, 동일한 직능을 가졌던 것으로 생각된다.

대로는 지난날의 부족장적(部族長的) 성격을 지닌 데 비하여, 패자는 행정적·관료적 성격을 보다 많이 지닌 것으로 보인다. 즉, 대로가 임명될 때에는 고구려사회에 부족장적 전통이 더욱 컸을 것이며, 반대로 패자가 임명될 때에는 왕권이 더욱 강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주서(周書)』 이후부터는 대로와 함께 패자의 기록도 나오지 않으며, 수상직으로는 대대로(大對盧)만이 나온다. 이러한 사실은 고구려가 중앙집권적 귀족국가로 전환되면서 관등체계도 왕을 중심으로 한 일원적(一元的)인 체계로 바뀌어갔음을 말해준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지(三國志)』
「고구려·신라(高句麗·新羅)의 관계조직(官階組織)의 성립과정(成立過程)」(김철준, 『이병도박사화갑기념논총(李丙燾博士華甲紀念論叢)』, 1956 ;『한국고대사회연구(韓國古代社會硏究)』, 지식산업사, 1975)
「高句麗官位制とその展開」(武田幸男, 『朝鮮學報』86, 197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