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초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왕이 필요한 신하의 입시(入侍)를 명할 때 패를 사용하던 제도.
목차
정의
조선시대 왕이 필요한 신하의 입시(入侍)를 명할 때 패를 사용하던 제도.
내용

조선시대 임금과 신하가 대면할 수 있는 기회는 그리 많지 않았다. 한달에 두번 있는 조참(朝參 : 모든 문무 관원들이 정복을 입고 임금에게 문안과 정사를 아뢰는 일) 외에 수시로 왕을 배알할 수 있는 신하는 2품 이상의 당상관에 국한되어 있었다.

그 밖의 관원들은 왕이 명을 내려 부르기 전에는 왕에게 알현을 청할 수 없는 것이 규정으로 되어 있었다. 주간에는 승정원에 명령을 내려 필요한 관원의 입시를 명하지만 긴급사태가 발생하였거나 야간에 긴급히 대면할 필요가 있을 때 패초하였다.

먼저 승지에게 부를 신하의 직위와 성명을 말하여 ‘명(命)’자를 쓴 목패에 쓰게 한 뒤 승정원의 액례(掖隷)를 시켜서 부르게 한다. 패초의 유명한 사실은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반정을 계획한 뒤 당시 재상인 황보 인(皇甫仁)·김종서(金宗瑞) 등을 영양위궁으로 불러 죽일 때 사용한 사실이다.

패초를 받은 신하는 어떠한 어려움과 장애가 있어도 지정된 시간까지 입시하지 않으면 중벌에 처해지는 엄격한 법률이었다.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대동야승(大東野乘)』
집필자
권오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