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전투 ()

목차
조선시대사
사건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평양에서 조선과 일본의 군대와 벌인 네 차례의 전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평양에서 조선과 일본의 군대와 벌인 네 차례의 전투.
내용

제1차 전투는 1592년(선조 25) 5월에 있었다. 즉, 4월 14일 부산에 상륙한 일본군은 5월 2일 서울에 진입, 새 작전 계획을 수립하고 고니시에게 평안도를 침입하게 하였다. 임진강의 방어선을 돌파하고 서침을 계속하던 고니시의 군대는 6월 1일 개성을 출발, 평양으로 향하였다.

이에 선조는 11일 평양을 떠나 의주로 피난하고 평양성을 좌의정 윤두수(尹斗壽), 도원수(都元帥) 김명원(金命元), 이조판서 이원익(李元翼) 등에게 지키게 하였다.

이 때 성중에는 군민(軍民)을 포함 3,000∼4,000명이 있었는데 이들을 나누어 성을 지키게 했으나, 항오(行伍)가 분명하지 못하고 치밀한 작전 계획도 없었다. 다만, 옷가지를 을밀대(乙密臺) 부근 숲에 드문드문 걸어놓고 군사처럼 보이도록 하는 정도였다.

13일 대동강에 도착한 고니시 군대는 강 언덕에 10여 둔(屯)을 만들고 짚으로 막을 짓고는 여러 날 강을 건너지 못하고 있었다. 윤두수·김명원이 장사 400명을 뽑아 고언백(高彦伯) 등을 시켜 인솔하게 하고 능라도(綾羅島)로부터 강을 조용히 건너 적진을 기습, 일본군을 사살하고 300여 필의 말을 빼앗았다.

그러나 조금 뒤에 여러 둔의 적이 이르러 이에 아군이 물러나 배를 타려 하였다. 그러나 배 안에 있던 사람들이 강 중류(中流)로 적이 몰려드는 것을 보고 배를 대지 못해 많은 수가 익사하였다.

남은 군사가 왕성탄(王城灘)으로 건너오자 적이 물이 얕아 건널 수 있음을 알고 모두 건넜다. 때문에 이 곳을 지키던 군사는 화살 하나 쏘지 못하고 흩어져 도망하였다. 이에 윤두수 등이 전세가 불리함을 감지, 먼저 성중 사람들을 내보내고 무기를 풍월루(風月樓) 연못에다 버리고 성을 빠져 나왔다.

제2차 전투는 1592년 7월에 있었다. 조선의 원군 요청을 받은 명나라는 부총병(副摠兵) 조승훈(祖承訓)에게 요동 수비병 3,000명으로 이를 구원하게 하였다. 조승훈은 북로(北虜)와 여러 번 싸워 이겨 공을 세운 경험이 있어 일본군을 가볍게 본 데다가 평양에는 일본군의 수가 적다는 말을 듣고 순안(順安)을 떠나 평양성 밖에 이르러 도원수 김명원이 거느린 3,000명의 병사와 합세, 일본군을 공격하였다.

7월 15일 평양에 도착한 조승훈은 비바람이 심한 야간을 이용해 평양성을 공격하였다. 그러나 이 때 일본군은 평양 성문을 열고 유도 작전으로 명군과 조선군을 성내로 유인, 조총으로 기습 공격하였다. 이에 악전고투하다가 유격장 대조변(戴朝弁)·사유(史儒) 등이 전사하자 많은 사상자와 남은 군사를 수습해 퇴각하였다.

제3차 전투는 1592년 8월에 벌어졌다. 도원수 김명원은 일본군이 평양에서 더 이상 북진하지 않고 약해졌다는 보고를 받고 이원익·이빈(李賓)에게 평양성을 공격하게 하였다.

이 때 조방장(助防將) 김응서(金應瑞), 별장(別將) 박명현(朴命賢) 등이 용강(龍岡)·삼화(三和)·증산(甑山)·강서(江西) 등 바닷가 여러 고을의 군사 1만 여명을 거느리고 20여 둔으로 나누어 평양 서쪽을 압박하였다. 그리고 별장 김억추(金億秋)는 수군을 거느리고 대동강 입구를 점거했으며, 별장 임중량(林仲樑)은 2,000명을 거느리고 중화(中和)를 지켰다.

세 길로 나누어 진격, 보통문(普通門) 밖까지 육박, 적의 선봉과 싸워 다소의 전과를 올렸으나 곧 적의 대군이 밀어닥쳐 패퇴하였다. 10월에는 다시 관군과 승군(僧軍)이, 11월에는 승군 단독으로 평양성을 탈환하겠다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계획으로만 그쳤다.

그 뒤 제4차 전투가 1593년 1월에 있었다. 명나라는 이여송(李如松)에게 5만의 군사를 주어 조선을 구원하게 하였다. 압록강을 건너온 명군은 다음 해 1월 6일 이른 아침 조선 관군과 함께 평양성을 포위하고 칠성문(七星門)·보통문·함구문(含毬門) 등 세 성문 밖에 진을 쳤다.

이에 조선의 이일(李鎰)·김응서의 군대와 휴정(休靜)과 유정(惟政)의 승군도 합세하였다. 전군에 명을 내려 평양성의 서북면을 포위하게 하였다. 이어서 오유충(吳唯忠)·사대수(査大受)와 승군은 모란봉(牡丹峰), 이여송·장세작(張世爵)은 칠성문, 양원(楊元)은 보통문, 조승훈·낙상지(駱尙志)·이여백(李如柏)은 이일·김응서와 함께 함구문을 공격하도록 하였다.

제독 이여송은 기병 100여명을 거느리고 모든 장수를 지휘하며 후퇴하는 자는 목을 베고 먼저 성에 오르는 자에게는 은(銀) 50냥을 준다며 사기를 북돋웠다. 이에 일본 장수 고니시는 연광정(練光亭)의 토굴로 들어가고 칠성문·보통문·모란봉 등지의 제장들도 여기에 모여서 응전하였다.

이여송은 이곳을 집중적으로 공격했으나 많은 부상자가 발생하자, 막다른 지경에 빠진 왜적들이 죽을 힘을 다할 것을 염려, 성밖으로 군사를 거두고 고니시에게 성을 열어줄 테니 퇴각하라고 하였다. 고니시는 군량과 무기가 바닥나고 원군도 오지 않자 결국 이 제안을 받아들였다. 이여송이 이 사실을 조선 진영에 통보하자 조선측은 복병을 철수하고 길을 열어주었다.

이에 고니시는 남은 군사를 거두어 중화·황주(黃州)를 거쳐 다음 날 봉산(鳳山)에 이르렀는데, 이 곳에 주둔했던 일본군은 이미 도망가고 없었다. 이로써 일본군은 서울로 후퇴하고 조선은 비로소 평양성을 탈환하게 되었다. 이 평양성 탈환은 이제까지 후퇴만 계속하던 전세를 역전시키는 주요 계기가 된 전투였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
『징비록(懲毖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백사집(白沙集)』
『임진전란사』(이형석, 임진전란사편찬위원회, 1967)
「임진왜란승군고(僧軍考)」(이장희, 『이홍직박사회갑기념한국사학논총』, 1969)
「임진왜란론」(허선도, 『천관우선생환력기념한국사학논총』, 1985)
『李如松征東考』(王崇武, 歷史言語硏究所集刊, 1947)
「朝鮮壬辰倭亂禍中之平壤戰役與南海戰役」(李光濤, 『歷史語言硏究所集刊』 20, 1948)
「朝鮮壬辰倭禍與李如松之東征」(李光濤, 『歷史言語硏究所集刊』 22, 1971)
집필자
이장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