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호남리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북한 평양직할시 삼석구역에 있는 석기시대 이후 집터와 돌널무덤 · 독무덤 관련 생활유적.
정의
북한 평양직할시 삼석구역에 있는 석기시대 이후 집터와 돌널무덤 · 독무덤 관련 생활유적.
개설

1979∼1981년까지 북한의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가 발굴하였다.

호남리 남경마을의 앞벌 대동강의 오른쪽 기슭에 위치해 있다. 남북 길이 약 50m, 동서 길이 약 1km이며, 면적은 5만㎡에 달한다. 대동강의 침식으로 남쪽부분이 많이 유실되었는데 이 부분까지 포함한다면 범위가 더 넓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

유구는 주거지와 고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신석기시대 주거지로는 제12·17·31·32·37호가 있다. 청동기시대 주거지로는 청동기 1기에 해당되는 제6·7·9·30·33·34·36호, 청동기 2기에 해당되는 제3·4·5·10·11·16·18·19·35호, 청동기 3기에 해당되는 제1·2·8·13·14·15호가 있다. 청동기시대 고분으로는 5기의 석상분(石箱墳)인 제1·2·3·4·5호가 있다. 철기시대의 옹관묘로는 제1∼9호의 9기가 있다.

신석기시대 주거지들은 층위상으로 청동기시대의 주거지 및 무덤들과 구별된다. 또한 유물갖춤새, 특히 질그릇갖춤새에서도 뚜렷이 구별된다.

신석기시대 주거지 5기는 질그릇갖춤새가 서로 다른 2개 부류의 주거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바탕흙에 곱돌을 섞어 만든 질그릇만 나온 제12·17·37호 주거지들이다. 다른 하나는 곱돌을 섞지 않은 질그릇들이 나온 제31·32호 주거지들이다. 금탄리 유적의 예로 미뤄보면, 바탕흙에 곱돌만을 섞은 질그릇이 나온 주거지가 곱돌을 섞지 않은 질그릇이 나온 주거지보다 시기가 앞선 것으로 여겨진다.

질그릇 무늬의 수법에서도 제1기 주거지 질그릇은 사선을 엇바꾸어 그어서 된 전나무잎 무늬모양이거나 사선을 교차시켜서 격선무늬를 냈다. 이는 궁산문화(弓山文化) 제4기에 속하며 용당포 유적과도 공통된다. 이에 비해 제2기 주거지 질그릇은 모래만 섞은 바탕흙, 덧무늬그릇, 점선띠무늬의 둥근 밑창단지, 비율이 늘어나는 무늬없는 그릇 등 금탄리 유적 제2문화층과 공통성이 있다.

제2기 주민이 남긴 각종 노동도구는 이 시기의 생산활동이 높은 단계에 이르렀음을 보여준다. 또한 식기류가 이전에 비해 뚜렷이 인정되는 것은 알곡생산이 늘어난 것과 관련된다.

신석기시대 제2기는 신석기시대 말기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의 문화갖춤새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요소들은 청동기시대 문화와 연결된 새로운 태동이자 청동기시대로 넘어가는 전제가 된다.

청동기시대의 주거지와 유물은 다음과 같다. 청동기시대 제1기 주거지들은 짜임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된다. 하나는 장축이 동서(서북∼동남)로 놓여 있거나 네 벽이 경사지고 바닥에 기둥구멍이 없는 주거지들(제7·9·30·33·34호)이다.

다른 하나는 장축이 남북(북동∼남서)으로 놓여 있고 네 벽의 벽체는 수직이며 바닥에 기둥구멍이 없는 주거지들(제6·36호)이다. 이들은 금탄리 유적 제1호 및 제2호 주거지와 석탄리 유적 첫째 유형 주거지와 같은 시기로 추정된다.

청동기시대 2기 주거지들은 전형 또는 변형의 팽이그릇과 함께 미송리형 단지가 나와 다른 주거지들과 구별되지만 주거지의 짜임새도 특징적이다.

이 시기의 주거지 짜임새는 두 가지로 분류된다. 하나는 제5호 주거지처럼 주거지 복판에 기둥구멍이 없고 네 벽을 따라 지름 10cm 정도의 통나무를 벽체 골조로 촘촘히 세운 것이다.

다른 하나는 제4·10·11호 주거지와 같이 주거지 복판의 장축 중심선상에 기둥구멍들이 3개 있고, 네 벽가에는 기둥 혹은 벽체 골조가 가는 통나무그루들로 된 것이다. 이들은 고연리 유적과 석탄리 유적의 자료들과 관련되어 주목된다.

청동기시대 제3기 주거지에서 크기를 알 수 있는 4개 중 3개는 제1·2·15호 주거지로, 주거지의 장축 중심선상에 기둥구멍이 한 줄 뚫려 있다.

이와는 달리, 제8호 주거지는 돌을 바닥에 깔고 그 테두리에 돌을 돌려놓은 시설물들이 있다. 불을 피운 흔적이 없어 화덕자리로 보기는 어려우며, 주거지 바닥에 얕은 부분과 깊은 부분이 있는 점이 구별된다. 이들은 금탄리 유적 제8호 집자리와 석탄리 유적 둘째 유형 주거지들과 공통성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유적에서는 신석기·청동기시대의 유적이 많이 발견되었다. 여기에서 얻어진 자료들은 우리나라 원시 및 고대사연구에 학술적 의의가 매우 크다.

특히, 여러 시기의 주거지에서 나온 낟알들은 신석기시대 이래로 농업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생산활동을 벌여온 사실과 청동기시대에 평양 일대를 중심으로 한 대동강 및 재령강유역에 살던 팽이그릇 주민들 사이에서 농업이 결정적인 생업이었음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남경유적에 관한 연구』(석광준·김용간,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