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제 ()

목차
관련 정보
포제 / 소지
포제 / 소지
민간신앙
의례·행사
제주도에서 마을사람들의 안녕함과 풍농을 기원하는 마을제사.
목차
정의
제주도에서 마을사람들의 안녕함과 풍농을 기원하는 마을제사.
내용

정월과 유월에 지내며 보통 ‘이삿제’·‘거릿제’·‘천제’·‘산천제’·‘건성제’ 등으로도 불린다.

목적이 마을사람들의 불상사를 예방하고 오곡의 풍성함을 기원하는 데 있으므로 치성을 드리고 택일을 받는다. 택일은 정초에 받되, 초정(初正)·중정(中正)이 아니면 불리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이때에 그 마을에 장사(葬事) 따위의 부정이 있게 되면 연기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마을제인 포제 때에는 희생으로 돼지를 한 마리 또는 두 마리를 잡는다. 이때의 돼지는 그 제의 장소에 몰고 가서 잡고 돼지를 통째로 꿇어앉혀 올려서 제를 지내게 된다. 제물은 대개 이장 집에서 만드는 것이 상례이며, 제관은 7일간 근신하고 제 지낼 시간이 되어야 비로소 제청으로 나가게 된다.

포제를 지내는 시간이 한밤중이므로 고요하고도 엄숙한 분위기 속에서 정결한 사람들만이 제에 참석하게 된다. 제가 끝나면 그 마을에 돗당(돼지고기를 올려 제 지내는 神堂)이 있는 경우, 제관은 거기서 음복을 하지 않고 이튿날 포제 때 썼던 제물과 돼지를 돗당으로 가지고 가서 당제를 지낸 다음 비로소 음복을 하게 된다.

제관은 초헌관(初獻官)·아헌관(亞獻官)·종헌관(終獻官)·집례(執禮)·도예차(都預差)·전사관(典祀官)·대축(大祝)·찬자(贊者)·알자(謁者)·봉향(奉香)·봉로(奉爐)·봉작(奉爵)·전작(奠爵)·사준(司准)·예차헌관(預差獻官) 등으로 구성된다.

성미(誠米)는 마을사람들이 집집마다 쌀 한되씩 모아서 제물과 희생(犧牲 : 돼지)을 마련하고, 메는 도량서직(稻梁黍稷: 벼·기장·조·피)으로 각각 한 그릇씩 올린다. 그리고 녹포녹해(鹿脯鹿醢: 사슴고기포와 그 젓)·어수어해(魚䐹魚醢: 바닷고기 말린 것과 그 젓)·청저근저(靑菹芹菹: 무채와 미나리채)·율황형염(栗黃鉶鹽: 生栗과 소금), 그리고 잔을 올리고 축을 고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관과 제물, 그리고 축문의 내용으로 베풀어지는 포제는 한편 마을에 따라서는 ‘별포제(別酺祭)’라는 이름으로 달리 베풀어지고 있음을 볼 수도 있다. 이 별포제를 일명 ‘도청제’라고도 하는데, 이는 마을에 전염병이나 화재 따위로 환란이 생겼을 때에 그 마을의 매인 심방(마을의 본향당에 딸린 무당)의 관여 하에 베풀어지는 마을제의이다.

이러한 별포제를 지내려면 사전에 향회(鄕會)를 열어 그 회의에서 삼헌관(三獻官)을 뽑으며 집사는 반드시 그 마을 본향당에 매여 있는 심방이 맡게 된다. 제비(祭費)는 역시 마을의 공금에서 충당하게 된다. 의식은 보통 4, 5일간의 무속적인 의례로 베풀어지며, 그 제차는 영등굿과 비슷하나 다만 거기에 ‘거무영청굿(白丁의 굿, 피쟁이굿)’이 한몫 더 끼게 된다.

따라서 거무 영청굿 대목에 이르러서는 심방이 돔배칼(도마칼)을 들고 칼춤을 추는 과정이 더 붙는다. ‘거무영청굿’은 피쟁이집(白丁의 집)의 굿을 할 때만 베풀어지는 대목으로서 일반적인 굿의 제차에서는 제외되는 굿의 대목인데, 한편에서는 이 대목을 ‘산신놀이’로 대치하는 수도 있다.

포제가 향리의 양반층에서 제를 하게 되는 유교식 제의임에 비하여 별포제는 심방을 중심으로 한 무속제의의 한가지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이렇듯 ‘본향당신’을 ‘한집’으로 모셔 받드는 심방과 단골 중에는 온 마을사람들의 전체 뜻에 따라 속신되고 제를 하게 되는 마을 공동의 유교식 성격을 띤 포제당의 제사에도 직접 간접으로 참여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실례로 제주시 애월읍 신엄리와 같은 마을은 본향당과 포제당이 겸하여 있으나, 같은 읍의 납읍리에는 포제당이 따로 마련되어 있다. 대개의 경우, 포제는 한 해에 두 차례 제사지내는데 음력 정월과 유월에 베풀어진다. 제사 시기가 유월, 특히 초복과 중복 사이인데, 보통 이때에는 여름농사의 씨앗을 뿌리는 시기이다.

정월에 지내는 제사는 객신제(客神祭), 유월에 지내는 제사는 농포제(農酺祭)라고 한다. 객산제는 주로 그 마을 사람들에게 그해의 천연두를 비롯한 모든 악신의 침입을 방지하게 하는 제사요, 농포레는 그해의 마을사람들의 농사에 지장이 없도록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로서 각각 그 목적이 다르다.

그리고 서귀포시 성산읍 신산리 같은 마을에서는 본향당의 제사가 1월·2월·7월·10월 등 네 차례에 걸쳐 베풀어지고 있으나, 그 가운데 1월의 제의(굿)에 있어서는 1월 2일에 ‘정월 포제 파젯제’로, 당제와 포제를 겹쳐서 제사지내는 이중적인 구실을 하고 있다.

그리고 본향당제가 낮에 지내는 데 반하여 포제는 근신한 헌관으로 하여금 고요한 한밤중에 제를 지내게 된다. 그리고 좁게는 한 가족의 안택제로 지내는 고사와도 일맥상통하는 제의라고 할 수 있다.

포제의 목적이 농사의 풍년과 축산의 번성 및 자손의 창성을 빌고, 마을사람들을 질환(惡疫)으로부터 예방하는 데 있으므로, 해마다 객신제와 농포제의 두 차례로 나뉘어 정월과 유월에 베풀어지는 이 포제의 의의는 매우 크다.

참고문헌

『南國의 民俗』(秦聖麒, 濟州民俗硏究所, 1969)
『南國의 巫俗』(秦聖麒, 濟州民俗硏究所, 1966)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진성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