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봉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조호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4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조호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8권 4책. 목활자본. 1924년 손자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김수로(金壽老)와 유석근(劉錫謹)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185수, 서(書) 61편, 권3∼5에 서(序) 14편, 기(記) 15편, 발(跋) 9편, 상량문 8편, 봉안문 5편, 제문 25편, 애사 1편, 명(銘) 2편, 가술(家述) 7편, 권6·7에 비(碑) 3편, 묘지명 7편, 묘갈명 22편, 묘표 2편, 행장 9편, 전(傳) 1편, 권8에 부록으로 행장·묘갈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시대적인 영향을 받아 비탄과 울분, 강개로 점철되어 있다. 「고의(古意)」·「사가(思家)」·「산보(散步)」 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며, 그 밖에 명승고적을 유람하면서 경치와 소회를 묘사한 「대고대(大孤臺)」·「수족정(睡足亭)」·「월담대(月潭臺)」 등이 있다.

서(書)는 스승 허전(許傳)과 친구 곽종석(郭鍾錫) 등 당시의 대학자들과 학문을 논한 것이다. 특히, 「답오덕윤학기(答吳德潤學璣)」에는 『논어』에 대한 문목이 있는데, 당시 학이시습(學而時習)에 대하여 논란이 일자 자신의 생각을 명쾌하고 알기 쉽게 설명한 것이다.

기 중 「김씨삼세정려기(金氏三世旌閭記)」는 김필만(金弼萬)과 종제 필락(弼樂), 조카 여삼(汝三) 세 사람이 17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공을 세워서 정려가 된 사실을 기록한 것이고, 서(序) 중 「금강록서(金剛錄序)」는 금강산을 유람하고 그곳의 기이한 경치를 상세히 묘사한 글이다.

그 밖에 김정규(金精奎)의 효행을 찬미한 「김효자전(金孝子傳)」과, 열부 강씨(姜氏)의 절행을 칭찬한 「강씨열효각기(姜氏烈孝閣記)」가 있다.

집필자
권오호(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