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교 ()

목차
관련 정보
연병지남 / 한교
연병지남 / 한교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중기에, 예빈시주부, 군자감판관 , 의흥현감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사앙(士昻)
동담(東潭)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56년(명종 11)
사망 연도
1627년(인조 5)
본관
청주(淸州)
주요 관직
예빈시주부|군자감판관 |의흥현감
관련 사건
임진왜란|인조반정
목차
정의
조선 중기에, 예빈시주부, 군자감판관 , 의흥현감 등을 역임한 문신.
생애 및 활동사항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사앙(士昻), 호는 동담(東潭).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한명회(韓明澮)의 5대손으로, 아버지는 직장 한수운(韓秀雲)이다. 이이(李珥)·성혼(成渾)의 문인이다.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지리·복서(卜筮)·병략(兵略) 등의 학문을 두루 통달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적을 토벌하였으며, 그 공으로 벼슬길에 나가기 시작하여 사재감참봉·예빈시주부·군자감판관 등을 거쳐 죽산·의흥의 현감을 역임하였다.

특히, 1594년에는 유성룡(柳成龍)의 추천을 받아 문인으로서는 특례로 훈련도감낭관에 임명되어 새로 들어온 중국의 전술서인 『기효신서(紀效新書)』의 강해(講解)를 받았다.

따라서, 명나라 진중에 자주 왕래하면서 명나라 장수들에게 질의하여 포(砲)·검(劍)·창(槍) 등 무기의 각종 새로운 기법을 터득하고 그림을 그려 책을 만든 다음 가르치게 하니, 이것이 뒷날의 종합무술교과서인 『무예도보통지(武藝圖普通誌)』의 근원이 된다.

광해군 때에는 곡산부사로 벼슬길에서 물러나 아차산(峨嵯山) 아래 광나루에 집을 짓고 은거하였으며, 1623년 인조반정에 참여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 3등으로 서원군(西原君)에 봉하여졌다.

1625년(인조 3)에는 서북방에 변고가 있을 것을 염려하여, 상소를 통하여 그 예방책을 건의하였다. 유저로는 『동담집』·『가례보주(家禮補註)』·『홍범연의(洪範衍義)』·『사칠도설(四七圖說)』·『무예제보(武藝諸譜)』·『소학속편(小學續編)』등이 있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인조실록(仁祖實錄)』
『서애집(西厓集)』
『은봉전서(隱峯全書)』
『조선명신록(朝鮮名臣錄)』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용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