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홍당집 ()

함홍당집
함홍당집
불교
문헌
조선 후기의 승려, 함홍 치능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9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의 승려, 함홍 치능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9년에 간행한 시문집.
개설

조선 후기의 승려인 함홍 치능의 시문집으로서, 시 214편과 서(書) 22편·서(序) 1편·기(記) 4편·문(文) 1편·찬(贊)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사대부들과 교유한 시가 많이 수록되어 있다.

편찬/발간 경위

1879년에 김기선(金驥善)과 허훈(許勳)이 쓴 서문에 의하면, 함홍이 입적한 다음해인 1879년에 제자인 명원(明遠)이 스승의 원고를 모아 간행하였다고 한다.

서지적 사항

2권 1책. 간행지는 알 수 없다. 『한국불교전서』 제10책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함홍 치능은 자가 운환(雲寰)이며, 속성은 김씨이다. 13세에 경상도 의성의 고운사(孤雲寺)로 출가하여 구담(九潭) 화상에게서 구족계를 받았다. 고운사에서 세수 74세로 입적하였다.

『함홍당집(涵弘堂集)』은 2권으로 구성되는데, 권1에는 시 214편, 권2에는 서(書) 22편·서(序) 1편·기(記) 4편·문(文) 1편·찬(贊)1편 그리고 화상자찬(畵像自讚)과 비명 및 행장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형식을 구분하지 않고 실었으며, 오언절구는 거의 없고 대부분 칠언절구 또는 오언율시, 칠언율시로 이루어져 있다. 시의 내용은 회포를 읊은 시, 사찰을 소재로 한 시, 불도를 노래한 시 등이 있다. 사찰을 소재로 한 시로서는 「제운수암(題雲水庵)」·「제백련암(題白蓮庵)」·「제연지암(題蓮池菴)」·「과인각사(過麟角寺)」 등이 있고, 불도를 노래한 시로서는 「설오계(說五戒)」·「사월초팔일유감(四月初八日有感)」·「결제(結制)」 등이 있다.

특히 사대부들과 교유한 시가 상당히 많은데, 이우경(李羽慶) 등 수십여 명의 유림선비들에게 준 시 50여 수가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근차석초공운(謹次石樵公韻)」·「석초사백견방(石樵詞伯見訪)」·「광흥사여석초공부(廣興寺與石樵共賦)」·「근차석초공운(謹次石樵公韻)」은 조선 말기의 문신인 김재긍(金在兢, 1815∼?)에게 보낸 것이다.

산문 가운데 기로서는 「광흥사중창기(廣興寺重創記)」·「고동지헌위토기(高同知獻位土記)」 등이 있다. 서(序)로는 「괄허화상유고서(括虛和尙遺稿序)」가 있는데 이것은 18세기 조선 불교문학의 주역이었던 괄허 취여(括虛取如, 1720∼1789)의 문집에 대한 서문이다.

의의와 평가

전체적으로 일반 한시(漢詩)의 체제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불도를 다룬 시는 많지 않고, 사대부들과 교유한 시가 대단히 많은 것이 특징이다.

참고문헌

『불교문학의 이해』(서영애, 불교시대사, 2002)
『한국불교전서』제10책(동국대학교 한국불교전서편찬위원회, 동국대학교 출판부, 1989)
「조선후기 불가한문학의 유불교섭양상연구」(이진오,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1990)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정영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