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여문기 ()

목차
관련 정보
허여문기
허여문기
가족
문헌
전통시대에서 재산을 상속할 때 작성하는 문서. 분재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통시대에서 재산을 상속할 때 작성하는 문서. 분재기.
내용

허여는 허급(許給)이라고도 한다. 재주(財主)가 직계 존속인 경우도 있으나, 방계(傍系) 및 인척인 경우도 있다. 즉, 부조(父祖)뿐 아니라 삼촌·외삼촌·장인 등으로부터 토지·노비 등 재산을 받는 경우가 있다.

허여문기는 분급문기(分給文記)·화회문기(和會文記)와 같이 정식의 재산상속문서는 아니며, 별급문기(別給文記)와 같이 특별한 사유로 허여하는 것도 아니므로, 허여한 뒤 그 재산을 둘러싸고 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많다.

부조(父祖)에 의한 허여라도 뒤에 자손간에 분쟁의 가능성이 있는 것이며, 특히 방계 및 인척에 의한 허여의 경우 분쟁의 가능성이 더욱 많다. 따라서 고려 말∼조선 전기에 있어서 허여문기는 관부의 입안(立案, 公證)을 받았다.

입안을 받는 절차는 ① 재주가 수증인(受贈人)에게 허여문기를 작성해주면, ② 수증인은 관부에 입안을 신청하는 소지(所志)를 올리고, ③ 관부에서는 재주와 증인·필집(筆執)으로부터 진술서(招辭·條目·消息·緘答 등)를 받아 확인한 뒤, ④ 입안을 발급해 주었다.

그 서식은, 첫행에 문기를 작성한 해의 연호·연월일 및 수증인을 기재하였고, 허여하는 사유, 허여재산의 소재 및 규모를 명기하였으며, 끝에 재주·증인·필집의 성명을 쓰고 수결(手決)을 하였다.

허여받은 재산은 일반적인 재산상속과 구별되는 것으로, 재산상속분에 더하여 소유되는 재산이다. 당시의 가족제도·재산상속제도 등을 연구하는 데 참고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한국고문서연구(韓國古文書硏究)』(최승희, 지식산업사, 1989)
『고문서집성(古文書集成) 3 -해남윤씨편(海南尹氏篇)-』(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광산김씨오천고문서(光山金氏烏川古文書)』(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