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화사 칠층석탑 ( )

목차
관련 정보
현화사 칠층석탑
현화사 칠층석탑
건축
유적
북한 황해북도 장풍군 현환사터에 있는 고려전기에 조성된 방형평면의 7층 석조 불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황해북도 장풍군 현환사터에 있는 고려전기에 조성된 방형평면의 7층 석조 불탑.
내용

북한 국보 문화유물 제139호. 높이는 8.64m이고, 현화사지에는 이 칠층석탑 외에 당간지주 · 비(碑) · 석교 등이 있으며, 석등은 일제강점기에 서울로 이전하여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현화사는 1018년(현종 9)에 창건(완공)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현화사칠층석탑은 1020년(현종 11)에 건립된 것으로, 방형(方形) 평면이며 1단의 기단부와 7층의 탑신과 상륜부로 되어 있는데, 고려석탑 중에서는 큰 편에 속한다.

기단부는 네 모서리와 기단부 각 면의 한가운데에 돌기둥을 세우고 그 기둥돌 사이에 장방형으로 다듬은 돌들을 벽돌처럼 쌓아 만들었다. 기둥돌 위에는 세 단의 받침을 가진 넓고 편평한 두꺼운 갑석(甲石)을 놓았는데, 기단부를 이렇게 처리한 것은 희귀한 예에 속한다.

기단부의 한 변은 3.9m에 이르고, 7층으로 된 탑신은 위로 올라가면서 체감법을 사용하여 안정감을 주고 있다. 매층의 탑신 밑에는 2단의 굄을 마련하였고, 탑신 네 모서리에는 우주(隅柱: 모서리기둥)를 새겨넣었다.

탑신의 각 면에는 연화형 안상(眼象)을 조식하고 이 안상 속에 석가상 · 사천왕상 · 나한상 등의 불상을 정교하게 장식하였다.

옥개석들은 전체적으로 얇은 편으로, 처마는 깊고 상하연(上下緣)은 양쪽으로 비교적 심하게 휘어올라 있다. 옥개석 밑에는 2단씩의 낮은 처마받침을 두었다.

정상에는 네모난 노반(露盤)과 복발(覆鉢)이 있고, 그 위에 육각형의 석물을 올렸는데 앙화(仰花)나 보개(寶蓋)로 추정된다. 규모가 크고 전반적으로 수법이 굵직하면서도 세부에 있어서는 정교하며, 탑 전체와 각 부의 부분이 조화를 이루는 균형잡힌 걸작이다.

참고문헌

『북한의 자연지리와 사적』(통일원, 199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